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마음의 감기'로 불리는 우울증 진료환자가 70~80세 이상 여성에게서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최근 5년간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우울증으로 인한 건강보험 진료환자가 2007년 47만6천명에서 2011년 53만5천명으로 늘어났다.
2011년 기준 연령별 인구 10만명당 진료환자는 70대 여성이 4,178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60대 여성 3,217명, 80세 이상 여성 2,990명 순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 동안 인구 10만 명당 진료환자수가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연령대는 80세 이상 여성으로 연평균 8.2% 증가했다. 이어 80세 이상 남성이 6.8%, 70대 여성이 5.2%, 20대 남성이 5.1% 증가했다.
최근 노인층에서 우울증 증가가 높은 이유는 최근 가족 제도 변화에 따른 독거노인의 증가와 가족 내 갈등 증가, 경제력 상실, 신체기능 저하, 각종 내외과적 질환, 배우자와의 사별 등을 노인 우울증의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특히 중년기 여성들이 폐경 전후에 겪게 되는 호르몬 변화는 자존심 손상, 무가치함, 자신감의 부족 등과 같이 자신을 부정적인 방향으로 생각하게 되는 심리적 요소와 함께 우울과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
우울증 환자의 80% 정도는 수면장애를 호소하며 식욕이 감퇴되거나 비정상적으로 식욕이 항진되기도 한다. 불안증상도 흔하게 동반되고 피로감을 쉽게 느낀다. 자신에 대해 무가치함을 호소하고, 지나친 죄책감을 느끼거나, 집중력 저하와 같은 인지기능 저하도 상당수에서 나타난다. 가장 심각한 증상은 자살사고다. 우울증 환자의 3분의 2에서 자살을 생각하고 10~15%에서 실제로 자살을 시행한다.
우울증은 무엇보다 평소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운동과 같은 신체적 활동과 긍정적인 생활태도가 도움이 되고 심해지기 전 조기에 진단, 치료해야 한다. 위기 상황에서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구하는 열린 마음은 물론 가족과 친구들도 이야기를 들어주고 정서적 지지를 해 주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이선구 교수는 "우울증 치료를 조기에 종료하면 재발의 위험이 크므로 6개월 이상 유지치료를 해야 하며, 약물을 중단할 때에는 주치의와 상의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며 "고 말했다.
-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