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장수진 기자] 우리나라 주요 온라인 음원유통사이트에서 적용하고 있는 음원추천제도가 소비자의 음원 소비 성향을 왜곡하고, 음원의 순위 진입과 지속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침으로써 온라인 디지털 음원의 공정한 유통을 저해시키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는 문화체육관광부가 27일 한국저작권위원회 교육연수원에서 개최한 ‘디지털 음원차트 공정성에 관한 공청회’에서 발표된 연구 결과다. 경희대학교 경영대 김민용 교수팀은 멜론, 엠넷, 벅스, 올레, 소리바다의 우리나라 5대 주요 음원사이트를 대상으로 올해 11월 8일부터 12월 8일까지 매일 2회에 걸쳐 순위 100위 내의 곡을 분석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체로 100곡 이상의 순위를 보여주는 디지털 음원차트는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의 화면 크기 제약으로 인해 여러 페이지(슬롯)로 나누어져 노출되며, 노출되는 페이지의 순서에 따라 재생빈도 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슬롯효과(Slot Effect))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특정 음원이 순위차트의 최상위에 위치하고 있음으로 인해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빈도가 높아지고, 이러한 슬롯효과와 함께 마치 해당 음원의 인기도가 높다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주는 판단오류(위치편의(Position Bias) 효과)를 유도하는 복합작용으로 인해 차트가 왜곡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원인은 정액제와 무제한 스트리밍 등 현행의 디지털 음원 소비 성향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국내 디지털 음원시장의 주요 5개 웹사이트와 모바일 사이트의 랭킹차트에는 모두 추천곡이 존재하며, 이 추천곡은 실제 디지털음원차트의 1위 음원보다 더 높은 위치에 표시돼 있다. 일반적으로 추천은 유통사·기획사의 마케팅 프로모션 수단으로 이용되는데, 이 추천이 차트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곡의 랭킹차트 진입은 평균 0.5일 소요되며, M사이트의 경우 추천 후 51위에 있었다가 추천 0.5일 이후 13위에 올랐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음원유통사의 추천곡 기획사 분포는 멜론 추천곡의 경우 로엔이 56%, 엠넷의 경우 CJ E&M이 40%, 벅스의 경우 네오위즈인터넷이 76%, 올레뮤직의 경우 KT뮤직이 35% 등을 차지하고 있어 주요 음원 유통사이트들이 추천제도를 자사 곡의 홍보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음도 확인했다. 특히 순위차트 진입 이후 추천곡보다 비추천곡의 하락세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추천곡은 평균적으로 2주일 동안 20~30위를 유지하고 있는 반면, 비추천곡은 평균 1주일 이내에 50위권 밖으로 이탈했다.
문화부는 이러한 주요 음원사이트의 순위차트가 공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현실임을 감안해 순위차트의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우선 현행 추천제도를 순위차트와 연동시키는 시스템에 대해 개선토록 하고, 현재 한국음악콘텐츠산업협회 주관으로 운영하고 있는 ‘가온차트’를 공정한 차트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스트리밍 중심의 현행 순위 차트제도를 개선해 소비자의 선호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다운로드 등에 가중치를 높게 부여하는 방안을 마련해 순위차트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해 나갈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