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홍미선 기자] 환경부는 8일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변화와 적응 연구를 수행하게 될 국립생태원에 국내 최초로 남극 펭귄인 ‘젠투펭귄’과 ‘친스트랩펭귄’을 일본 나고야항수족관으로부터 도입한다. 젠투펭귄은 머리 부분의 흰색 띠가 힌두교인들이 쓰는 두건(젠투)과 비슷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었으며, 물속에서 가장 빠르게 헤엄칠 수 있는 펭귄으로 알려져 있다. 친스트랩펭귄은 뺨에 검은 줄이 있는 것이 특징이며, 매일 80km 이상을 헤엄치고 수심 70m까지 잠수해 먹이를 잡는 펭귄으로 유명하다.
<젠투팽귄 모습>
펭귄은 전 세계적으로 18종이 있고 국내에는 자카스펭귄, 킹펭귄 등 4종이 도입돼 있다. 이번에 도입하는 펭귄은 젠투펭귄 암컷 2마리와 수컷 4마리, 친스트랩펭귄 암컷 2마리와 수컷 3마리의 총 11마리다. 젠투펭귄과 친스트랩펭귄은 세계적으로 사육하는 개체수가 각각 100여 마리, 50여 마리밖에 없는 희귀 펭귄이다. 세계 각국에 분양 가능성을 타진한 결과 일본(나고야항수족관 11마리)과 영국(에딘버러동물원 4마리)으로부터 분양허락을 받고, 그중 1차로 일본으로부터 도입했다.
펭귄들은 국제적으로 스터드북(족보)에 등록․관리되고 있는데, 이번에 도입되는 젠투펭귄은 영국이 남극에서 채집한 개체로부터 증식된 4세, 친스트랩펭귄은 일본이 남극에서 채집한 개체로부터 증식된 3세다.
국립생태원건립추진기획단 이창석 단장은 “이번 도입되는 펭귄은 기후변화로 서식지가 파괴돼 가는 남극 생태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