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양영구 기자] 교육과학기술부는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사업본부 SLR 연구팀이 레이저로 위성을 추적해 위성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인공위성 레이저추적 시스템(SLR)’을 국내 최초 독자기술로 개발에 성공하고 10월부터 본격적인 가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시스템 통합>
인공위성 레이저추적 시스템은 지상에서 위성체에 레이저를 발사하고 반사돼 오는 빛을 수신한 후 시간을 계산해 위성체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하는 시스템으로 위성까지의 거리를 mm 단위까지 측정할 수 있다. 현재까지 개발된 위성 추적 방법 중 가장 정밀한 방법이다.
한국천문연구원이 2008년 개발에 착수한 인공위성 레이저추적 시스템은 주야에 관계없이 한반도 상공의 레이저 반사경이 설치된 위성의 정밀한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레이저 반사경이 장착된 나로과학위성(10월 발사예정)의 위치도 이를 활용해 정확한 위치 측정이 가능하게 됐다. 또한 위성의 정밀한 위치 측정은 위성 추적과 관제뿐 아니라 지구의 정확한 중력상수 결정, 지각 및 해수면의 변화 등 지구물리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다.
연구원 박필호 원장은 “SLR 시스템의 가동으로 우리나라도 독자적인 우주감시체계 구축이 시작됐다”며 “천문 관측 기술이 국가 우주 개발 사업에 일조할 수 있게 돼 자부심을 갖는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