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미래 기자] 환경부는 2012년 자동계량장비(RFID방식)를 사용하는 종량제 시범사업을 실시한 결과, 전년에 비해 음식물쓰레기가 평균 25% 감량됐고 이에 따른 식재료 구매 비용 절감액은 한 가구당 연간 19만 원 정도에 달할 것으로 조사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모니터링은 2011년 음식물쓰레기 자동계량장비를 설치한 금천구, 양주시, 평택시, 익산시, 정읍시, 포항시, 김천시, 제주시 8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올 1월부터 5월까지 5개월 간 실시됐다. 세부조사는 음식물쓰레기 배출정보가 집계되는 중앙시스템에서 지자체별 배출량을 확인하고, 해당지역 공동주택 관리자나 수거업체 관계자 등의 면담을 통해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환경부는 음식물쓰레기 발생량 모니터링 결과, 2011년 동기 대비 지자체별로 최소 3%에서 최대 40%까지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이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올 1월부터 자동계량방식으로 종량제 수수료를 부과한 김천시의 경우,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이 크게 줄었을 뿐 아니라 수수료 부담에 따라 우려됐던 무단투기, 주민반발 등의 부작용 없이 현재까지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량제 시행에 따라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이 40%나 줄었고, 주민 수수료 부담도 기존 1,200원에서 3~400원 수준으로 3분의 1로 감소됐다.
시범사업 시행에 따른 긍정적인 효과는 종량제 시행 방식을 두고 고민하는 타 지자체로도 확산돼 2013년에 자동계량(RFID)방식을 적용하려는 지자체가 40여개에 이를 만큼 주민과 지자체의 공감대를 확대시켜 가고 있다. 자동계량장비 사용에 대한 주민만족도 조사결과(2011), 75%의 응답자가 ‘종량제 시행이 감량에 도움이 된다’고 답변했고, ‘장비작동법이 쉽지 않다’는 응답은 8%에 불과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시범사업 결과 음식물쓰레기 감량 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자동계량방식의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전국으로 확산되는 데 한층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다만, 기존 방식과 달리 계량장비를 사용해서 음식물쓰레기를 버리는 만큼 기계 오작동 등 주민 불편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지자체에서는 올해 초 배포한 '민원처리 긴급대응체계 구축·운영 요령'을 토대로 신속하게 대응해 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