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복부 불편, 간헐적인 예리한 통증, 무직한 통증, 경련이 일어나는 것 같은 통증 등을 호소하는 ‘자극성 장증후군’ 환자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자극성 장증후군’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6년 136만1천명이던 진료환자는 2011년 27만7천명이 늘어난 163만 8천명으로 연평균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환자수는 2006년 2,870명에서 2011년 3,323명으로 453명이 늘어나 연평균 3.0%의 증가 추세를 보였다.
2011년 기준 연령별 진료인원은 50대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전체 진료인원의 19.4%를 차지했고 그 다음은 40대 16.1%, 60대 13.3%, 30대 12.2% 순(順)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남성은 70대가 6,508명으로 가장 많았고 80세 이상 6,053명, 60대 5,423명, 50대 4,043명 순(順)으로 나타났다. 여성도 70대가 5,741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5,458명, 50대 4,691명, 80세 이상 4,177명 순(順)으로 진료환자가 많았다.
<2001년 자극성 장증후군 연령별 성별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
2006년~2011년까지 최근 6년간 건강보험 진료비와 공단이 부담하는 급여비 모두 증가 추세를 보였다.진료비는 2006년 778억원에서 2011년 1,079억원, 급여비는 519억원에서 722억원으로 늘어나 진료비와 급여비 모두 연평균 6.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입원, 외래, 처방조제(약국)로 구분해 살펴보면 입원은 11.1%, 외래는 5.9%, 처방조제(약국)는 7.8% 증가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원선영 교수는 최근 자극성 장 증후군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스트레스의 증가와 점차 서구화되는 식습관 등이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횟수가 늘어나는 것도 환자 증가의 요인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자극성 장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복통 또는 복부 불편감이다. 복통은 대부분 하복부에 나타나나 심와부(명치)에 나타나기도 한다. 경련이 일어나는 것 같은 통증을 호소하나 간헐적인 예리한 통증, 무직한 통증, 가스로 팽만한 듯한 통증 등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통증은 스트레스에 의해 악화될 수 있으며 식사 후에 악화되거나 배변 후 호전되기도 한다. 하지만 영양 섭취에 장애를 일으키거나 수면을 방해하지 않는다.
원 교수는 “일부 환자에서는 음식에 따라 증상이 악화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운동과 그 외 여가 활동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이 좋다”며 “고지방식, 과음, 흡연 등을 피하며 올바른 식습관을 길러 건강한 장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이자 치료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