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희연 기자] 요즘 같은 환절기에는 후두염 환자가 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최근 2006년부터 2010년까지 5년간 ‘후두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결과 진료환자가 347만7천명에서 401만8천명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봄철에 후두염 환자가 많은 이유는 아침저녁으로 일교차가 커 몸의 저항력이 떨어지고 건조한 공기로 인해 후두점막의 저항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밀폐된 공간에서 생활할 경우 사람과 사람간의 접촉이 많아 손이나 공기로 전파되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감염원의 빠른 전파로 발병률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실내 근무자나 어린이집, 학교 등에서 생활하고 면역력이 약한 유아, 어린이들이 후두염에 걸리기 쉽다.
2010년을 기준으로 후두염 질환의 계절별 진료인원을 살펴보면, 3~5월 봄철에는 154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6~8월 여름철은 93만명으로 가장 적었다. 9~11월 가을과 12~2월 겨울은 각각 139만명, 138만명으로 나타났다.
<2010년 계절별 '후두염' 질환 진료인원
연령별 진료인원은 9세 이하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료 비율이 높아 전체 진료인원의 17.5%를 차지했다. 이어 30대 16.1%, 40대 14.2%, 10대 13.7% 순(順)으로 노인환자 비율은 낮았다.
후두염 질환 대부분의 진료환자는 의원에서 진료를 받고 있으나, 종합병원 환자도 크게 늘어나는 추세를 보여 2010년에는 10만 명을 넘어섰다. 후두염 질환의 최근 5년간 건강보험 진료비와 공단이 부담하는 급여비는 큰 폭의 증가 추세를 보였다. 진료비는 1,429억원(2006년)에서 1,937억원(2010년)으로 1.4배, 연평균 7.9% 증가했다. 급여비는 1,033억원(2006년)에서 1,387억원(2010년)으로 1.3배, 연평균 7.6% 증가했다.
최근 5년간 진료비 연평균 증가율을 입원, 외래, 약국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입원 14.4%, 외래 2.4%, 약국 16.4%이고 급여비 증가율은 입원 11.8%, 외래 2.7%, 약국 14.7%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1인당 진료비는 9세 이하가 2006년 5만2천원에서 2010년 6만4천원으로 연평균 5.4% 증가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보였고, 80세 이상은 5만5천원에서 5만4천원으로 연평균 0.4%로 감소했다.
그렇다면 요즘 같은 환절기에는 후두염을 예방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까?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이자현 교수는 “외부활동을 하거나 먼지가 많은 공간에서 생활할 때는 마스크를 착용해 원인균이 공기로 전파되는 것을 막고 밀폐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일이 많을 경우 환기를 자주 시키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목이 건조할 경우에는 물을 자주 마셔 후두 점막을 습윤하게 유지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는 과도한 음성 사용을 피하고 말을 많이 한 후에는 물을 마시면서 목소리를 쉬어주는 것이 후두염을 예방하는 방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