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성일 기자] 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2009년 4월 탄소성적표지 제도가 도입 3년 만에 인증기업 100개를 돌파하는 등 기후변화 대응의 효과적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9일 밝혔다.
탄소성적표지제도는 제품의 원료채취, 생산, 유통, 사용 및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해 제품에 라벨 형태로 부착하는 것이다. 1단계 탄소배출량 인증과 2단계 탄소성적표지로 구성돼 실시된다.
탄소성적표지 제도는 2009년 도입 첫 해 인증기업이 33개, 제품은 111개였으나 3년째인 4월 현재 103개 기업, 548개 제품이 인증 받았다. 인증기업 수로는 3배, 인증제품 수는 5배가 증가한 성과다. 특히 탄소성적표지의 2단계 인증인 저탄소제품 인증은 기후변화 대응의 수단뿐 아니라, 기업의 녹색기술의 개발을 촉진하는 선진화된 정책 수단으로서 부각되고 있다. 저탄소제품 인증은 지난해 11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도입된 것으로, 탄소배출량인증을 받은 제품 가운데 탄소배출량을 줄이거나 탄소배출량이 동종제품의 평균배출량보다 적은 제품에 부여하는 것이다.
기술원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하는 국민과 기업의 관심에 발맞춰 다양한 인센티브 및 지원책을 제공하며 탄소성적표지 제도 활성화를 통한 저탄소사회 정착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그린카드와 연계한 인센티브(에코머니) 제공,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평가 시 가점 부여, 녹색제품 종합낙찰방식 적용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아울러, 중소기업 인증 부담을 줄이기 위해 탄소성적표지 무료 컨설팅, 인증에 따른 수수료(50%) 지원 등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