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전해원 기자] 간을 위해 금주를 할 수 없다면, 절주 습관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006부터 2010년까지의 심사결정자료를 이용해 ‘알코올성 간 질환(K70)’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6년 18만 3,427명에서 2010년 15만 0,723명으로 5년간 약 3만3천명이 감소했다.
총진료비는 2006년 428억 9천만원에서 2010년 590억 3천만원으로 5년간 약 161억원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8.4%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간 질환의 진료인원은 남성이 매년 약 86.2~87.1%, 여성이 약 12.9~13.8%의 점유율을 보여 남성이 여성보다 약 6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간 질환의 진료인원을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2010년을 기준으로 40대(26.4%)~50대(29.6%)의 점유율이 56%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60대(16.9%)와 30대(14.3%)에서도 비교적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50대를 기준으로 50대미만의 연령층에서는 점유율이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50대이상의 연령층에서는 점유율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코올성 간 질환은 과다한 음주로 인해 발생된다. 무증상 단순 지방간에서부터 알코올성 간염과 간경화 등 다양한 질환군을 통칭한다. 알코올성 간 질환의 원인은 과도한 음주다. 과도한 음주량의 기준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최소음주량(하루 평균 40~160g)이 많을수록, 음주기간이 길수록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들의 경우 음상증상이 경미하고 알코올로 인해 다른 장기의 손상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 염증이 좀 더 진행된 알코올성 간염 환자들에서는 대부분 경미한 발열, 간비대, 황달과 식욕감퇴를 호소한다. 심하면 간실질의 섬유화를 초래하고 간경화증과 임상적으로 구분이 어렵다.
경미한 알코올성 지방간과 알코올성 간염의 경우 금주를 하면 간기능의 호전과 더불어 간염에서 간경화로의 진행을 줄일 수 있다. 중증의 간염이나 간경화 상태이더라도 금주를 하는 경우 간 조직검사 상 호전을 보이므로 금주는 필수적이다.
알코올성 간 질환을 예방하는 가장 최선의 방법은 금주이다. 그러나 습관성 음주자의 경우 단번에 금주를 하기에는 어려우므로 술의 양을 줄이는 절주 습관이 필요하다. 또한 불가피한 술자리가 있다면 가급적 알코올의 함유가 낮은 주류를 택하고, 회식자리 등의 모임에서는 건전한 음주문화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알코올성 간염은 대체로 식욕부진을 호소해 단백, 열량 부족 상태에 있으므로 종합 비타민제의 복용 및 충분한 영양 섭취가 필요하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