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정부는 50개 중앙행정기관(입법·사법부 포함)과 244개 지방자치단체(16개 시도, 228개 시군구)의 5012개 정보화사업에 대해 총 3조 6158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대통령 소속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30일 김황식 국무총리 주재로 회의를 열고 국가정보화 관련 주요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지난해 2기 위원회 구성 뒤 처음 열린 이날 회의에서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는 올해 중앙행정기관은 기가인터넷서비스 기반구축, 스마트폰 기반의 모바일 전자정부, 해킹·바이러스 대응체계 고도화 등 677개 정보화사업에 대해 총 2조 7197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지방은 u-도시통합운영센터, 통합재난종합상황실, 광역교통정보 등 총 8961억원을 투자, 4335개 정보화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
이날 국보위는'제2기 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 운영방안'을 확정,IT 환경변화에 부합하는 새로운 IT 생태계를 조성·강화하는데 주력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보기술(IT) 거버넌스 재정립,교육시스템 전환과 인력양성,IT시장 활성화 및 R&D 개선 ,법·제도 개선,국가정보화 주요정책의 점검 및 성공적 완수를 2기 위원회의 추진과제로 설정했다.
또한, 각 부처에 산재한 IT 정책의 효율적 조정․연계 및 IT 현안에의 범정부적 대응을 강화하기 위해 대통령실,국무총리실, 행정안전부,문화체육관광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IT 유관부처간 차관급 협의체인 운영협의회를 위원회에 구성․운영키로 했다.
아울러 정부부처 산하 9개 IT 전문기관장으로 국가정보화전략 자문단을 구성하여 IT 전략에 대한 자문과 동시에,IT 유관기관간 상시적 협력 및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토록 했다.
김 총리는 "IT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히며 "당장의 경제성장 뿐 아니라 미래의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우리의 IT역량의 결집을 통해 글로벌 IT경쟁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하고,"이를 위해 정부기관간, 정부와 기업간에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협력이 필요하며,국가정보화전략위원회가 그 구심점 역할을 이행하여 줄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