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성일 기자] 환경부는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의 안전개최를 지원하기 위해 25일부터 회의종료일인 3월 27일까지 ‘화학물질 테러․사고 대책 상황실’을 운영한다. 화학물질 테러․사고 대책 상황실은 화학사고 발생 시 화학물질의 탐지, 분석 등을 통해 초동대응기관인 경찰, 소방 등에 신속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중점으로 한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국정원, 소방방재청,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연락체계를 구축해 신속성과 정확성을 높일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안전개최를 위한 총괄 조정 기능을 하게 된다. 정상회의에 대비해 지난해 9월부터 진행 중인 화학물질 취급업체 771개소에 대한 단계별 지도점검이 앞으로는 상황실을 중심으로 실시된다.
환경부는 이미 1단계로 행사장 주변 10km 반경 이내에 위치한 유독물 판매업체 47개소와 고독성이고 테러․사고 개연성이 높은 화학물질을 다량 취급하는 전국의 86개 업체 등 총 133개 업체에 대한 점검을 실시했다. 점검결과, 유독물 보관창고 외에 보관해 고발당한 1개 업체 외에는 대부분 업체에서 적정하게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화학물질 불법유통을 상시감시하기 위해 2011년 9월 민간 네티즌 20명으로 발족한 ‘화학물질 사이버 감시단’의 운영도 상황실을 중심으로 하게 된다. 이외에도 시스템 점검 및 홍보 등을 통해 화학테러․사고 대응태세를 확립․강화할 예정이다. 환경청에서 보유하고 있는 화학사고 대응장비 실태를 1월말까지 조사완료하고 부족한 장비에 대해서는 오는 2월부터 보충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화학테러에 대비해 대국민 홍보 포스터인 ‘화학테러 이것만은 알아둡시다’를 제작하고 지하철과 기차역사 등에 게시하도록 요청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