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세미 기자] 환경부는 첨단 지리정보시스템과 원격탐사 기술을 이용해 논, 밭, 산림, 시설물 등 국토의 지표면 현황상태를 세밀하게 알 수 있는 북한강·남한강 유역 7개 지자체에 대한 세분류(1대 5,000) 토지피복지도 760도엽을 공개(http://egis.me.go.kr)했다.토지피복지도(Land Cover Map)는 논, 산림, 시설물 등 지표면 상태를 과학적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동질의 특성을 지닌 구역을 폐곡선으로 지정한 후, 이를 컬러 인데싱(Color Indexing)해 쉽게 구분이 가능토록 한 주제도다.
이 지도는 우리나라의 다목적 위성인 아리랑2호의 영상을 최초로 이용해 단독주거시설, 공업시설, 논, 밭, 활엽수림, 침엽수림, 하천 등 지표면의 현황을 41항목으로 세밀하게 구분했고 이러한 항목 구분은 녹지율, 우수 유출율, 비점오염물질 배출율, 온실가스 배출율 등 특성파악과 행정구역별 집계가 가능하도록 해주었다.
이에 따라 토지피복지도는 비점오염원 관리, 기후변화 예측모델링, 국토변화 모니터링, 산사태 및 홍수발생 예측 등 다양한 정책수립과 집행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 비오톱지도, 생태·자연도, 국토환경성 평가지도 등 다양한 환경주제도에 대 기본정보를 제공함으로써 5년 단위로 1,377억원의 비용절감효과가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토지피복지도는 1998년부터 1대 50,000 대분류 지도, 2000년부터 1대 25,000 중분류 지도를 제작했으며, 2010년부터 1대 5,000 세분류 지도를 제작함으로써 정확도가 100배 향상됐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