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성일 기자] 보건복지부는 25일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촉진위원회를 개최해 2011년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촉진계획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올해 정부 등 공공기관의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계획 총액은 4,566억 원으로 사상 최대 규모이며 전년(2,393억 원) 계획금액 대비 90.8%, 전년 실적(2,665억 원) 대비 71.3% 증가했다.
우선구매계획 총액의 급증은 금년부터 공공기관별로 총 구매금액의 1%이상을 중증장애인생산품으로 구입하도록 의무화한 데 큰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10년도 공공기관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실적을 종합한 결과, 총 구매금액은 2,665억 원으로 2009년 실적(1,658억 원)보다 60.7% 증가했다. 이처럼 2010년도 우선구매 실적이 증가한 이유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홍보와 이에 따른 구매기관의 인식의 개선, 정부의 판로 지원 강화 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기관장 및 기관 경영평가에 우선구매실적을 반영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 및 공기업의 실적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금년부터 국가기관 평가에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적을 평가항목에 포함토록 국무총리실과 협의해 2012년 이후에는 소속 및 산하기관까지 모두 평가대상에 포함, 평가관리를 강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복지부는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촉진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한 ‘2011년 우선구매 촉진계획’을 더욱 강력하게 시행할 계획이다. 먼저,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수요를 확대하기 위해 공공기관 구매계획에 대한 관리가 강화된다.
전년도 구매실적이 부진한 공공기관에 대해서는 철저히 이행하도록 요청하고 2년 이상 실적 부진 기관에는 대외에 공표하고 모든 공공기관의 소속 및 산하기관까지 포함해 교육 및 홍보를 실시, 구매담당자의 인식을 제고할 계획이다.
또한 공공기관 의무구매 수요 확대에 따라 생산시설 지정도 196개소('10.12월말)에서 260개 이상으로 확대하고 생산시설 육성을 위해 경영컨설팅, 마케팅, 시설·장비 등을 지원하되, 정기적인 점검 등을 통해 시설 및 품질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2011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촉진계획을 성실히 이행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가 중증장애인을 위한 일자리창출 및 사회통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보완하고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