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최혜연 기자]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은 4월 「이달의 기록」으로 ‘1950년대 문맹퇴치운동’ 관련 기록물을 선정하고, 1일부터 나라기록포털(http://contents.archives.go.kr) 온라인서비스를 실시한다. 이번에 제공하는 기록물은 문서 3건, 시청각 5건 등 총 8건이다.
해방 이후 우리 글(한글)을 되찾으면서 국가의 중요한 정책과제가 됐던 문맹퇴치운동은 미군정기(1945~1948)를 거쳐 1950년대에 본격적으로 추진됐다. 이 운동은 1960년대 초 국민재건운동본부가 주관한 문맹퇴치운동, 대학생들의 농촌계몽운동으로 이어졌다.
1950년대의 문맹퇴치운동은 국민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문맹국민 완전 퇴치 및 기호식(記號式) 투표 방법 일소(一掃)’라는 슬로건을 내세우고, 전국 문맹국민 퇴치 5차년 계획에 따라 범국가적 사업으로 추진됐다.
당시 문맹자의 기준은 ‘국민학교(초등학교) 2학년 수료 정도의 국문해득력을 갖지 못한 자‘ 였으며, 정부는 각 부처의 협조 아래 문맹자들을 대상으로 해마다 농한기를 이용해 70~90일 동안 교육을 실시했다.
전국 문맹퇴치교육 공로자 표창식(1953) 현수막에 게시된 ‘없어지는 눈뜬 장님, 자라나는 민주 대한’이라는 구호는 당시의 문맹퇴치사업 목적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제2차 전국 문맹퇴치교육 실시계획안(1954)에 의하면, 민의원 선거를 앞두고 1954년 3월 18일부터 40일 동안 추진한 제1차 전국 문맹퇴치 교육은 만 19세 이상 문맹자 1,972,115명의 문맹퇴치 성과를 거두었다. 2차로 만 12세 이상 문맹자 1백 17만 3,144명을 대상으로 중앙에서 동․리에 이르는 ‘전국 문맹퇴치 교육추진 계통도’를 조직하고 국문교육반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문맹해소 교육을 실시하는 계획을 수립했다.
이와 같이 범국가적으로 추진한 문맹퇴치사업은 해방 당시 약 78%(만 12세 이상 인구 1천 25만 3,138명 중 문맹자 7백 98만 902명)에 달했던 문맹률을 1960년에 28%로 낮추는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이러한 적극적인 문맹해소 노력 결과, 국민들의 민주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을 물론 한글 교육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토대가 됐다. 또한 성인의 문맹률을 낮추기 위한 평생교육의 방향이 형성되는 시기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다.
이경옥 국가기록원장은 “1950년대의 문맹퇴치운동은 선거의 참여율을 높일 목적으로 '작대기식 투표방식 개선‘을 표방해 민주주의의 굳건한 기초를 다지는데 큰 역할을 했고 국민의 문맹해소에 크게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