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규리 기자] 환경부는 고유가 시대를 맞아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경과 경제를 살리는 친환경운전 10가지 약속’이라는 책자를 발간 배포한다고 밝혔다.
이번 책자는 10가지 친환경운전 방법별 연료 및 온실가스 감축량과 절감액을 제시하고 삽화와 그래프를 이용 절감효과를 손쉽게 이해하도록 했다.
하나, 경제속도(60~80km/h) 준수하기
경제속도를 준수하면 10%의 연료가 절약되어 연간 27만원의 연료비 절감과 322kg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효과가 발생된다. 차속 60km/h시 20.4km/L의 연비를 나타낸 반면 차속 120km/h시 15.1km/L의 연비를 나타내, 과속 시 25%의 연비 저하를 초래했다.
둘, 급출발, 급가속, 급감속하지 않기
하루 급출발을 10번 하면 100cc의 연료가 낭비되고, 급가속하면 연료소모가 30%이상, 오염물질이 50%이상 증가한다. 하루에 10번 처음 5초간 시속 20km까지 천천히 가속해 출발하면 180원의 연료비가 절감된다.
셋, 불필요한 공회전은 이제 그만 !
불필요한 공회전을 하루 10분간 줄이면, 1.5km이상 주행할 수 있는 168cc의 연료가 절약돼 하루 300원이 절약된다.
넷, 신호 대기시 기어는 중립으로
중립모드(N)으로 전환하면 구동모드(D)에서 보다 30%이상 연료소비가 준다. 중립모드에서 10분간 121cc의 연료가 소모되는 반면 구동모드(D)에서는 34%가 증가한 161cc의 연료가 소모된다.
다섯, 언덕길에서는 관성운전
내리막길에서 자동차의 연료 차단기능(Fuel cut)을 활용해 관성운전하면 약 20%의 연비상승과 오염물질 배출이 감소된다.
기타 공회전 제한 등 친환경운전 방법별 연료절감 효과 등에 대한 내용은 환경부 홈페이지 및 친환경운전 포털사이트(eco-drive.or.kr)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환경부는 “금년 3~6월을 친환경운전 집중 캠페인 기간으로 정하고, 정부청사(중앙, 과천, 대전) 및 지자체, 민간단체와 협력해 친환경운전왕 선발대회 등 다양한 캠페인 활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