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오기선 기자] 청소년들의 욕설, 비속어 및 은어 등의 사용이 늘어나고 폭력 등이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한다는 지적에 따라 여성가족부는 4일 국무회의에 관계기관(여성가족부,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 행정안전부, 방송통신위원회) 합동으로 ‘청소년 언어사용 실태 및 건전화 방안’을 보고했다.
먼저, 청소년 언어사용 실태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73.4%가 매일 욕설을 사용하며 친구 간 대화 시 5%․문자사용 시 7% 정도가 욕설․유행어 등 부적절한 언어에 해당하는 등 불건전 언어 사용이 일상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욕설의 사용 동기로는 50% 정도가 ‘습관’이라고 응답하면서도, 욕설의 의미를 아는 청소년은 27%에 불과했다.
욕설 사용과 디지털미디어(인터넷, 온라인게임, 휴대전화, TV)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디지털미디어 이용 시 청소년의 56%(온라인게임 52.2%, 인터넷 44.6%, 휴대전화 33.8%, TV 10.6%)가 욕설을 경험하고, 디지털미디어로부터 신조어나 욕설, 폭력적 언어를 모방하는 사례가 많아 디지털미디어가 청소년의 언어생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민주적인 가족관계나 독서 등 건전한 취미활동은 청소년의 언어생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여성가족부는 인터넷 등 각종 매체에 대한 규제 및 자율 정화를 병행 권장하고, 각종 매체 종사자 대상 언어․청소년 보호교육을 실시하며, 건전 인터넷문화 조성을 위한 사회운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또 학교문화 선진화 사업을 확대(’10년 150개교 → ’11년 300개교)하며, 학교생활규정에 공공규칙 내용을 강화하고, 대인관계 문제상담 등을 위한 ‘Wee 프로젝트’ 운영을 내실화해 청소년들의 건강한 또래언어문화를 조성할 계획이다.
여성가족부 관계자는 “‘청소년용 언어사용지침’을 개발․보급하는 등 청소년 대상 언어교육을 강화하고, 청소년 인터넷 윤리교육을 확대하며, 청소년 언어순화 캠페인을 지속 실시할 예정이다”며 “부모와 교사 등이 청소년의 언어생활을 잘 지도할 수 있도록 부모․지도자의 언어생활 지도 능력도 제고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