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조시내 기자] 인증산업의 고부가 서비스 산업화를 통한 수출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해 21일 산․학․연 관련 전문가 2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적합성평가제도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포럼을 개최했다.
인증산업은 WTO 이후 지역별 FTA로 무역자유화가 확산되는 과정에서 무역서비스산업이 발달된 미․유럽을 중심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무역자유화 흐름에서도 비관세장벽으로 더욱 정교해지고 있는 각국의 TBT 제도에 대응해 자국 기업들의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적 수단으로도 활용돼 왔다.
우리의 경우, 높은 제조업 비중 등 풍부한 잠재시장에도 불구하고 전문인력․노하우 등 국내인증산업 기반이 취약한 상태에서 1995년 서비스시장 개방으로 국내 수출기업의 해외인증 의존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어, 국내 인증발급 업계의 경영구조 악화, 국내산업의 수출비용 증가 등의 악순환이 지속돼 왔다.
이번 포럼은 지난 11월 1일 기술표준원내 전담국(적합성정책국) 출범 이후 산․학․연 전문가와 공동으로 적합성정책 개발 방향을 논의하는 첫 자리로 국가간 MRA 등 국제협력을 통한 수출기업 지원, 인증관련 규제완화 및 시장원리 강화를 통한 인증산업 자체의 발전 등 인증관련 수요부분과 공급부분의 국제경쟁력 향상 방안에 대해 논의됐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