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배종범 기자]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12일 인천 서구 종합환경연구단지에서 이만의 환경부장관, 박승환 한국환경공단 이사장, 장마리 위르띠제 르노삼성자동차 대표이사, 손종호 LS전선 대표이사 등 전기자동차 및 충전기 제작사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기자동차 실증사업’ 추진행사를 개최했다.
전기자동차 실증사업은 지난 9월 9일 개최된 “전기차 출시 및 관계자 격려행사”에서 보고된 “전기자동차 개발 및 보급계획”에 따른 1단계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2011년 상반기까지 전기자동차와 충전인프라에 대한 집중적인 실증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전기자동차 실증사업은 국내에서 앞다투어 개발하고 있는 모든전기자동차와 각종 유형의 충전인프라를 대상으로 실시된다.
전기자동차는 고속(현대, 르노삼성, 지엠대우), 저속(CT&T, AD모터스), 버스(현대, 한국화이바) 등 3종의 전기자동차 20여대가 투입되며 충전기는 LS전선, LS산전, 코디에스(한국전기연구원 공동 개발), 피엔이솔루션(한국전력 공동개발)에서 개발한 4종이 참여한다.
충전인프라는 서울, 인천, 과천 등 수도권 일대 공공시설과 마트, 주유소 등에 완속, 준급속, 급속 충전기 및 태양광 발전과 연계한 충전기 등 모든 유형의 충전기 총 16기(3기는 12월 가동예정)가 설치됐다.
환경부는 전기자동차, 충전시설 운용에 따른 성능, 경제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예정이며, 관련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전기자동차는 다양한 운행형태에 따라 도심구간, 고속도로 등을 일일 50~200km를 운행해 1회 충전주행거리, 차량성능 등을 모니터링하고 충전기는 충전효율, 충전시간 등 성능을 검증하는 한편, 향후 전기자동차가 본격 도입될 경우에 필요한 적정한 충전인프라 규모 산정, 적정입지 선정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진다.
특히, 인천 종합환경연구단지에 설치된 태양광발전 연계 충전시설과 구리, 일산 자원회수시설의 폐열발전 연계 충전시설을 통해 전기자동차와 신재생 에너지시설을 접목하는 시험을 진행하게 된다.
환경부는 “국내 최초로 실시되는 실증사업을 통해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로드맵 수립, 운행모델 개발 등 보급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