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신경화 기자] 지식경제부는 전 세계적인 R&D 글로벌화와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추세에 발맞추어 국내 산학연의 국제공동 R&D 활성화 및 정부 투자방향 정립을 위해 ‘국제산업기술지도’를 작성했다.
‘국제산업기술지도’란 국제협력이 필요한 유망기술을 제시하고 기술별 협력 대상을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R&D 국제협력의 종합청사진”이다.
이번 작업은 정부가 최초로 핵심기술 수준에서 논문,특허 분석이라는 계량적 방법을 사용함에 따라 객관성과 구체성을 확보하고 있다.
우리 경제의 성장잠재력을 확충할 수 있는 산업기술(총 10,836개) 중에서 국제협력을 통해 개발할 필요가 큰 300대 기술을 선별하고 이 기술과 관련된 인물 및 기관정보 등 국제공동 R&D를 위해 필요한 방대한 양의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다.
또 6만여건, 논문 34만여건, 174개 국가의 10만여개의 기관 및 67만명의 연구자 정보, 주요국에 대한 R&D 동향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미국, 호주, 독일, 일본 등 20대국가에 대해서는 국가별 R&D 시스템, 기술수준, 우리나라와의 협력관계 등을 종합해 협력정책방향을 마련했다.
미국, 독일 등 지방분권적 국가와는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정부, 산학연 클러스터, 또는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전방위적으로 추진하고 프랑스, 인도 등 정부주도적인 국가와는 정부간 협력관계를 우선 구축한 후 민간간 협력을 유도할 계획이다.
프랑스, 이태리 등 지금까지 산업기술 협력경험이 적은 국가와는 우선 정례적 협력채널을 신설해 양국간 협력수요를 발굴하며 기존에 이미 협력채널이 가동중인 독일, 영국 등과는 구체적인 프로젝트 발굴에 주력할 예정이다.
9월말까지 기초 데이터를 DB화해 온라인상에 구현함으로써 국내 연구자들이 직접 관심 분야의 기술동향 및 협력파트너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기술수명주기 단축을 감안해 전략기관 및 인물정보는 매년, 특허분석을 통한 전략기술 도출은 격년, 방법론 포함 전체 시스템은 3년 주기로 업데이트된다.
7~8월중에는 R&D 유관기관 워크샵, 업종별단체 간담회, 지역순회 설명회 등을 통해 국제산업기술지도 작성결과를 공유할 계획이다.
이에 R&D 과제 선정 및 국가간 협력채널 구축, 고위급 순방시 의제발굴 등에 지도 작성 결과를 활용하고,
R&D 관련기관과는 산업기술정책관 주관의 ‘국제기술협력 정책협의회’를 구성·운영해 유기적인 국제기술협력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지식경제부는 “융복합 시대에 국내 산학연의 국제공동 R&D 활성화를 통한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정부 산업기술 국제협력 추진의 방향성 제고 및 통합적,유기적 추진을 통한 성과 제고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