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장민서 기자]정부기관과 공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각종 공공정보를 누구든지 쉽게 찾고 활용할 수 있게 된다.행정안전부는 국가기관 등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를 민간에서 원활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한국정보화진흥원 내에『공공정보 활용 지원센터』를 지난 10일 오전 개소해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최근 스마트폰 등의 활성화로 공공정보에 대한 수요는 증가 추세이지만 국민들이 정보를 어디서 얻을 수 있는지를 잘 모르고, 또 정부도 소극적으로 대응하여 공공정보 취득이 어렵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공공정보는 사회·경제적 가치가 높은 국가자산으로서 민간활용을 통해 새로운 경제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으며, 새로운 서비스나 상품개발의 원천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이미 미국 Data.gov(´09.5), 호주 Data.australia.gov.au(´09.9), 영국 data.gov.uk(´10.1)에서는 공공정보 제공과 활용을 지원하는 전용사이트를 개설해 정부가 생성・보유한 데이터를 국민이 쉽게 찾고 다운로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지원센터는 지난 3월 10일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방송통신위원회 3개 부처가 공동으로 발표한 “공공정보 민간활용 촉진 종합계획”의 후속조치로서 공공정보를 민간이 쉽게 제공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업무를 맡는다.
이와 함께 ‘2009년 행정·공공정보 현황 및 실태조사‘ 결과에 따라 민간에서 활용가능한 350여종의 정보목록도 함께 공개하고 향후 공개 가능한 정보를 1,000여종으로 확대해 공공정보의 민간활용을 촉진할 예정이다.
지원센터는 공공정보 목록안내 뿐 아니라 민간-공공기관간 연계 서비스, 정보제공 대행서비스 등을 지원하고 한국저작권위원회와 협력을 통해 저작권 자문 서비스도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공공정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콘텐츠 산업이 육성될 것으로 전망되며, 공공정보를 활용한 모바일 1인 기업의 증가, 관련 산업의 창업 및 고용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