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가 고등고시 1차시험에 PSAT가 도입된지 7년이 되는 시점에서, PSAT 응시횟수와 합격률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10년도 행정고시 1차 응시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바에 의하면,
PSAT에 처음 응시하는 수험생의 합격률은 13.8%로서 평균합격률인 24.8%에 크게 못 미치지만, 2회차 응시생의 합격률이 23.0%로서 평균합격률에 근접하고, 3회차 응시생은 31.1%, 4회차 응시생은 39.7%로서 평균합격률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수험생들이 PSAT를 지속적으로 준비하면서 문제에 대한 적응력과 이해도가 높아져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지난 2007년 이후 PSAT에 합격한 사람이 2차시험 불합격 등의 사유로 다음해 시험에 응시하는 경우의 합격률을 분석한 결과,
2007년도 합격자 중 ’08년도 시험에 응시한 경우 60.7%, ‘09년도 시험에 응시한 경우는 64.6%, ’10년도 시험에 응시한 경우는 65.8%의 합격률을 기록했고, 같은 방식으로 ‘08년도 합격자와 ’09년도 합격자까지 분석한 결과, 각 합격률 평균은 64.9%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이후 매년 전체 수험생의 합격률이 4년간 평균 23.6%임을 감안할 때, PSAT에 합격한 자가 다음번 시험에 응시하는 경우 합격할 확률은 평균보다 3배 가까이 높은 것이다.
또한, 분석대상을 좁혀 PSAT 합격자 중 차년도 이후 시험에 연속 응시하여 매번 합격한 경우만 별도로 분석한 결과,
2007년도 이후 2회연속 응시하는 경우에는 64.4%, 3회연속 응시하는 경우는 78.1%, 4회연속 응시하는 경우에는 합격률이 83.4%로서 응시횟수가 증가하면서 합격률도 급격히 상승했다.
이와 관련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PSAT에 합격한 자가 다음번 시험에서 합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볼 때, 현행 PSAT가 공직적격성 평가체계로서 신뢰성이 높으며, 수험생에게 예측가능한 선발도구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