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주환 기자]
시민의 출․퇴근, 쇼핑 등 일상생활에서 자전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전국 주요도시를 연결하는 국가 자전거도로 사업이 추진된다.
‘국가자전거도로 네트워크 구축사업’인 동 사업은 행정안전부가 올해부터 2019년까지 10년간 추진하며 총연장 3,120㎞에 달하는 사업이다.
사업원년인 올해에는 전국 50개지구 178㎞를 조성하며 국가와 자치단체가 50%씩 부담해 502억원의 국비를 포함, 1,004억원이 투입되는 사업계획을 확정해 자치단체에 통보했고 해당 자치단체에서 도로환경 등 주변의 토지이용계획을 충분히 고려해 실시설계와 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국가자전거도로는 우리나라 처음으로 국가차원에서 전국을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추진하는 자전거도로로서 저탄소녹색성장이념을 구체적으로 실현해 녹색교통시대로의 도약을 위한 디딤돌이 된다는 의미를 갖는다.
선진국의 경우 자동차산업의 발달 이후 70, 80년대 오일쇼크를 거치면서 국가차원의 집중투자를 통해 자전거 중심의 교통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자전거문화가 뿌리내리게 되었다.
우리나라도 이번 사업을 계기로 국민 누구나 자전거로 전국 곳곳을 갈 수 있는 선진형 자전거도로망을 구축하게 된다.
우선 시민의 일상생활에 직접 이용될 수 있는 도심 내 생활형도로를 우선적으로 조성한다는 점이다.
서울시의 청계천 구간 및 송파구 구간은 직장과 상권이 집중돼 있으면서 관광․쇼핑과 관련된 이동인구가 많은 지역으로 활발한 자전거이용을 기대할 수 있다.
인천시의 경우 동구 송현동에서 서구 원창동까지의 노선은 청라 택지개발지구와 연계돼 있고 대전시의 노선은 대전시청인 관공서와 업무용빌딩, 상업시설이 밀집된 중심지를 관통하는 노선으로 출․퇴근, 쇼핑등으로 이용될 수 있는 노선이다.
둘째, 지역별 특성을 최대한 고려해 노선을 선정했다. 대구시의 사업노선은 2011년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와 연계해 경기장주변도로를 우선 조성하며 광양시와 창원시 지역은 ‘공단지역 근로자 출․퇴근로’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셋째, 올해 사업을 중심으로 중․장기적으로 전국을 잇는 자전거도로 네트워크를 골격으로 해 지자체별로 지선형 및 도시내 자전거도로를 조성함으로써 국가의 자전거망과 지자체망이 종합화하게 된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자전거정책 총괄부처로서 국가자전거도로사업 외에도 자전거이용 활성화를 위해 자전거 인프라구축, 제도개선 교육․홍보 등에 대한 ‘자전거 정책의 마스트플랜’을 마련하고 있는 중이다.
행정안전부 오동호 지역발전정책국장은 “이러한 이로운 점을 갖는 자전거가 보다 많이 이용될 수 있도록 자전거도로 등 인프라 확충과 더불어 이용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며 조기에 자전거문화가 뿌리내리도록 국민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