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인시청 청사 2005년 신축)
지식경제부와 행정안전부가 246개 지자체청사(광역16개, 기초단체 230개)의 2008년 에너지 사용실태를 분석한 결과, 2005년 이후 최근 신축된 지자체 청사의 에너지사용량이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2008년까지 신축된 지자체청사는 총15개로 2005년 이전 건립된 청사에 비해 평균적으로 에너지사용량은 2.2배, 1인당 에너지사용량은 1.5배나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 건축시기에 따른 지자체청사 에너지사용현황 >
구 분 |
갯수 |
평균연면적 (㎡) |
평균에너지사용량 (toe) |
1인당에너지사용량 (kgoe) |
‘05-’08년 신축청사 |
15 |
40,792 |
1,118 |
1,234 |
‘05년이전 건립청사 |
231 |
17,807 |
508 |
822 |
전 체 |
246 |
19,208 |
545 |
848 |
특히 2005년 신축된 용인시청의 경우, 광역․기초지자체 청사를 통틀어 에너지사용량 1위, 1인당 에너지사용량 2위로 나타났다.(용인시청 연면적 79,572㎡, 지자체평균연면적 19,208㎡)
* 에너지사용량(toe) 1~5위 청사 : ①용인시청(3,843), ②경기도청(3,078), ③부산시청(2,992), ④대전시청(2,278), ⑤전북도청(2,253)
* 1인당에너지사용량(kgoe) 1~5위청사(1toe = 1,000kgoe) : ①전북도청(1,968), ②용인시청(1,931), ③양주시청(1,721), ④원주시청(1,694), ⑤포항시청(1,585)
신축청사의 에너지 과다사용은 기본적으로 청사의 건물연면적이 舊청사에 비해 지나치게 커졌으며 신청사의 건축방식이 훨씬 에너지소비적인 형태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 ‘05~’08년 신축 지자체청사 현황 >
지자체 (신축년도) |
연면적(㎡) |
연면적 증가율(배) |
지자체 (신축년도) |
연면적(㎡) |
연면적 증가율(배) | ||
구청사 |
신청사 |
구청사 |
신청사 | ||||
1. 용인시청(‘05) |
11,211 |
79,572 |
7.1 |
9. 관악구청(‘07) |
13,216 |
32,495 |
2.5 |
2. 천안시청(‘05) |
6,697 |
41,612 |
6.2 |
10. 포항시청(‘07) |
8,456 |
45,494 |
5.4 |
3. 전북도청(‘05) |
34,248 |
85,895 |
2.5 |
11. 원주시청(‘07) |
8,385 |
48,405 |
5.8 |
4. 전남도청(‘05) |
28,703 |
79,255 |
2.8 |
12. 부산남구청(‘07) |
6,868 |
22,097 |
3.2 |
5. 달성군청(‘05) |
6,016 |
24,406 |
4.1 |
13. 이천시청(‘08) |
9,950 |
23662 |
2.4 |
6. 안동시청(‘05) |
11,232 |
12,825 |
1.1 |
14. 마포구청(‘08) |
16,184 |
43246 |
2.7 |
7. 옹진군청(‘06) |
9,167 |
14,983 |
1.6 |
15. 금천구청(‘08) |
12,048 |
39435 |
3.3 |
8. 사천시청(‘07) |
11,422 |
18,491 |
1.6 |
전체 평균 |
12,920 |
40,792 |
3.5 |
또 일반적으로 건물로비가 높고 건물외벽체가 유리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에너지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리 커튼벽(glass curtain wall)의 경우, 조명부하를 낮출수는 있으나 냉난방부하(특히 냉방부하)를 높이고 기계식환기를 위한 추가적인 에너지소비를 유발해 과다한 유리벽은 에너지효율을 급격히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고 알려졌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자체 청사가 에너지 절약형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설계단계부터 집중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내년 1월 1일부터 모든 공공기관은 청사 신축 시, 건물에너지효율 1등급 취득이 의무화 되며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인 공공청사(충남도청, 일산 서구청 등)에 대해서도 설계 변경 등을 통해 건물에너지효율 1등급을 취득하도록 최대한 유도할 계획이다.
이번 지자체청사 에너지사용실적 발표에 이어 내년 1월 중 지자체 청사의 2009년 에너지사용실적을 공표해 지자체 차원의 보다 강도 높은 에너지절약 노력을 지속 추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박주환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