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환경과학원이 ‘공동주택 오염도 변화추이 파악을 위한 시계열조사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발표했다.
본 연구는 2006년도부터 새집증후군의 주요 원인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50종의 실내공기 오염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시작한 사업으로, 전국 신축 아파트 72세대를 대상으로 입주 전부터 입주 후 36개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추적 조사했다.
신축 아파트의 실내공기 중 대부분의 오염물질은 입주 전보다 입주 후 2개월까지 농도가 증가했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입주 전보다 입주 후 오염물질 농도가 증가하는 원인은 아파트 입주 시 입주자들의 약 50% 이상이 실내개조, 새 가구나 생활용품을 구입한 것이 원인으로 판단됐다.
대부분의 오염물질은 온·습도가 높은 여름철에 일시적으로 농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폼알데하이드는 온·습도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어 많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축 아파트의 입주 전 주요 오염물질은 휘발성유기화합물이며 입주 후 주요 오염물질은 폼알데하이드였다.
입주 전 오염물질은 톨루엔(197.6 μg/m3), 아세톤(80.5 μg/m3), 부틸알데하이드(75.6 μg/m3), 폼알데하이드(53.9 μg/m3) 농도 순으로 검출됐다.
입주 후 2개월부터 36개월까지는 폼알데하이드(132.6 μg/m3), 톨루엔(85.9 μg/m3), 아세톤(68.8 μg/m3), 자일렌(25.3 μg/m3) 순으로 검출됐다.
신축 아파트 실내공기 중 대부분의 오염물질은 거주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입주 후 36개월 후에는 톨루엔이 약 80%, 폼알데하이드는 약 65% 감소했다.
입주 후 2개월이 경과한 후 측정한 오염물질 농도는 톨루엔이 277.8 μg/m3, 폼알데하이드는 271.2 μg/m3이었으나 입주 후 36개월이 경과한 후에는 각각 50.6 μg/m3, 90.1 μg/m3로 줄어들었다.
톨루엔, 에틸벤젠 등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입주 7개월 경과 후 최고농도의 약 50%가 감소했으며 28개월 이후부터 약 80% 이상 감소해 안정화됐다.
이와 달리 폼알데하이드는 입주 19개월 경과 후 최고농도의 약 50% 이하로 감소했으며 31개월 이후부터 약 60% 정도로 감소하는 등 감소속도가 가장 느린 특성을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2005∼2007년 선행된 연구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폼알데하이드는 거주하는 동안 새 가구류 및 건축자재 등에서 지속적으로 방출돼 휘발성유기화합물에 비해 장기간 실내공기를 오염시키는 주요 원인임이 재확인됐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신축 공동주택뿐만 아니라 기존 거주 주택에 대해서도 새집증후군 원인물질 등 다양한 오염물질에 대한 특성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주거공간에서의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박주환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