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8년 응급의료기관평가를 바탕으로 복지부가 국내 응급환자 진료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응급의료기관 기능수행 평가지표인 5가지 응급의료 임상 질 지표의 추이를 분석한 결과 '07년과 비교해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3대 중증 응급질환자의 응급실 재실시간과 입원율·전원율 등 일부 지표에서 지역별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짧을수록 좋은 지역별 재실시간은 평균 2.4∼9.2시간(경북 2.4시간 전남 2.5시간으로 최단, 부산 9.2시간, 대구 7.3시간 최장)으로 지역편차가 크고
높을수록 좋은 지역별 입원율(70.8%~89.0%)은 충북(89.0%), 경남(88.7%), 울산(88.0%), 대전(87.9%) 순인 반면 낮을수록 좋은 지역별 전원율(1.4%∼14.0%)은 광주(14.0%), 전남(11.2%)이 타 지역에 비해 높았다.
5개의 질 지표 분석결과, 그간 응급의료기관평가와 재정지원을 통해 응급의료의 질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신속·정확한 응급환자 이송·치료 등 지역 간 응급의료 격차의 해소를 위해서는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 상담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등 지자체의 관할 지역내 중한 응급환자의 최종 전문치료체계 구축, 119 구급차의 적정 병원선정 등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복지부는 '10년부터 행안부 지자체 합동평가에 응급의료관련지표(관할 지역내 응급의료기관 법정충족률 등)를 신규로 포함해 평가할 예정이다. 또한 지속적인 응급의료기관 임상질지표 개선을 위해 3대 중증 응급질환별 전문치료체계를 구축(3년간 총 1,390억원 예산투입)하고 구조(법정조건)에서 질 중심으로 응급의료기관 평가방식을 전환하는 등 제도적 개선과 함께 각 지표별로 연차별 목표를 설정해 개선율을 추적하는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다.
동 분석결과는 '08년 응급의료센터로 지정·운영 중인 전국 109개 응급의료기관(권역·전문·지역응급의료센터)을 대상으로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수행했다.
박주환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