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보건기구(WHO)는 신종인플루엔자 발생이 전 세계로 확산됨에 따라 11일 전염병 경보수준을 최고단계인 ‘6단계’로 격상했다.
WHO 6단계 격상은, ‘신종인플루엔자 진원지였던 미주 대륙 이외의 다른 대륙에서도 신종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지역사회에서 ‘사람 대 사람’의 감염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WHO 대유행 단계 정의에 따른 조치이다. 그러나 WHO는 경보수준 격상이 신종인플루엔자의 전 세계적인 지리적 확산을 반영한 것이지, 신종인플루엔자의 심각성을 고려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보건복지가족부는 11일 저녁 관계부처 관계자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위기평가회의’를 긴급 개최해 WHO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 선언에 따른 국가 전염병 위기 수준을 논의했다.
회의결과, 발생환자 대부분이 해외에서 유입됐거나 제한된 범위의 긴밀 접촉자로 아직까지는 지역사회 전파가 발생하지 않은 상황으로 파악하고 현 수준인 ‘주의’ 단계를 유지하기로 결정하는 한편 향후 발생상황을 예의주시하고 대유행 선언 및 가을철 유행에 대한 추가적인 조치를 강구하기로 했다.
우리나라의 신종인플루엔자 확진환자는 12일 현재 56명으로 외국어 예비강사 집단발병 관련 22명, 멕시코 입국자 관련 3명, 외국입국자 31명이다.
정부는 그동안 신종인플루엔자의 국내 확산 방지를 위해 ‘중앙인플루엔자대책본부’를 설치하고, 질병관리본부 및 국립검역소의 24시간 비상방역체계를 가동해왔으며 검역질문서 징구 등 검역 강화, 입국자 전화모니터링 실시, 항바이러스제 추가 비축, 의료기관 및 학교 중심 일일 능동감시체계 가동 등 선제적 예방 조치를 강력하게 추진해왔다.
그러나 복지부는 세계적으로 신종인플루엔자가 호주, 칠레 등 남반구 국가를 중심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어 지속적인 환자 유입 및 지역사회 유행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전망하고 검역 및 입국자 관리를 통해 해외 환자 유입을 차단하는 동시에 지역사회 환자감시 및 조기치료체계를 병행 운영 및 올 하반기 대유행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신경화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