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는 청년실업 및 실직가장에 대한 대책이 절실한 상황에서 고통분담 차원에서 임금 삭감 등을 통해 일자리를 나누는 자발적인 “잡 셰어링(Job Sharing)”이 지자체 및 지방공기업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잡 셰어링은 「임금삭감 또는 근로시간 단축 등을 통해 일자리를 유지하거나 창출하는 것」을 의미하며 근로시간 단축을 통해 일감을 나누는 "워크 셰어링(Work Sharing)“이나 직무분할을 통해 일자리를 나누는 협의의 ”잡 셰어링“을 포함하여 임금동결·삭감 등을 통한 고용유지 및 창출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행안부는 20일 전국 97개 지방자치단체 및 지방공기업에서 잡 셰어링을 실시해 약 3만 4천개의 일자리가 추가로 생길 것으로 예상하고있다. 참여사례는 직원의 임금반납형, 성과상여금이나 복리후생비 반납형, 예산절감형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됐다.
직원의 임금을 삭감해 잡 셰어링에 나선 지자체는 인천광역시와 서울특별시가 대표적이다. 성과상여금을 반납한 지자체로는 경남 양산시, 전남 완도군과 충남 보령군이 있다. 대전시 유성구는 복리후생기금을 삭감해 2억 1천여만원을 기증했다. 한편 경상경비 등 예산절감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 사례로는 경북 울진군 의회에서 해외연수비 및 경상경비 삭감으로 일자리 창출예산을 편성했다. 이외에도 경남 마산시는 27일 경제위기극복을 위한 “일자리 창출 이벤트”를 개최할 예정이며 참여업체에 대해서는 중소기업 지원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석규 행정안전부 지역발전정책국장은 “지자체와 공기업 부문에서 자발적으로 전개되는 일자리 나누기가 민간부문의 활발한 동참을 유도하도록 모범사례를 지속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라며 민간의 적극적 동참을 호소했다.
행안부는 지자체 공공부문의 자발적·모범적 사례가 잡 셰어링의 긍정적 바이러스를 민간부문에 퍼뜨리고 파급시키는 선순환의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명웅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