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가족부 중앙암등록본부는 국가암등록사업을 통해 전체 국민을 대상으로 한 2003~2005년 암발생률 및 1993~2005년 암발생자의 5년 생존율을 발표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연평균 암발생건수는 132,941건(남자:72,952건, 여자:59,989건)으로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연평균 암발생건수 107,782건 대비 23% 증가했다.
2003년부터 2005년까지 연도별 암발생건수는 ’03년 124,209건, ’04년 132,005건, ’05년 142,610건으로 총 398,824건이었다.
※ 연평균 조발생률 : 인구 10만명당 274.1건이며 남자는 300.0건, 여자는 248.2건
※ 연령표준화발생률 : 인구 10만명당 243.6건이며 남자는 303.9건, 여자는 207.3건
2003~2005년 암종별 암발생건수 순위는 위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폐암, 대장암, 간암, 갑상샘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순으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9~2005년 매년 평균 2.5% 암발생 증가가 관찰됐고 남자에 비해 여자에서 높은 증가를 보였다. (남자 1.2% 여자 4.3%)
특히 남녀 모두 대장암(전체 6.7%, 남자 7.3% 여자 5.5%), 남자에서는 전립샘암(12.3%), 여자에서는 갑상샘암(25.5%), 유방암(6.8%)이 매년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간암은 남녀 모두 각각 연 1.8%, 1.7% 감소했고 여자에서는 자궁경부암이 연 5.2% 감소 경향을 보였다.
우리나라 국민이 평균수명(남자 75세, 여자 82세)까지 살 경우 남자는 3명 중 1명(31.9%), 여자는 4명 중 1명꼴(25.5%)로 암에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성일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