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가족부는 9월 22일부터 민간전문가와 함께 전국 산후조리원 합동현장조사를 실시한다.
이번 점검은 산모와 신생아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민간감염관리 전문가, 시민단체, 식약청 및 지자체와 합동으로 실시하는 첫 번째 현장조사로 지자체를 통해 선정한 46개소를 대상으로 실시한다.
산후조리원은 10여 년 전부터 신종자유업으로 운영되다가 ‘06년부터 모자보건법에 의한 인력·시설을 구비하고 시·군·구청장에게 신고하는 업종으로 전환됐다.
그간의 운영 실태를 평가하는데 의의가 있는 이번 현장조사는 시설 및 인력 기준 준수여부,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실태, 수유·목욕·음식 등 위생관리실태, 방문객관리 등 감염관리 실태와 소화기 비치, 비상구 안내 등 운영전반에 대한 점검과 현장지도를 실시한다.
합동현장조사와 아울러 10월 1일부터 전국 402개소 산후조리원에 대한 서면조사도 실시한다.
서면조사는 민간의료기관의 감염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팀이 개발한 내용을 조사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해 감염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보건복지가족부는 9월~10월 실시되는 운영평가 결과를 토대로 신생아와 산모의 건강과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산후조리원 감염·안전관리지침’을 마련해 보급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산후조리원 운영 평가를 통해 산후조리원인력과 시설 기준 등이 잘 지켜져서 국민들이 더욱 편안하고 안전하게 사용하고 감염·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하는 예방시스템이 마련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지혜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