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007년 12월 7일 충청남도 태안 앞바다에서 유조선(허베이스피리트호) 충돌 사고 후 기름유출로 인해 충남, 전남· 북 45천 여 가구가 피해를 입고 해안 70.1km(해안선 329km)와 15개 해수욕장에 오염 피해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양식장 피해면적은 36천여ha(충남 1만 5039ha, 전남 1만 9017ha, 전북 1841ha)로 어선어업과 맨손어업 등이 조업 중단 상태다. 주민들은 일손을 놓고 하루하루 먹고 살 걱정 속에서 기름제거 작업에 시간을 보내며 주민생계안정지원금 등 조속한 사고 해결을 원하고 있다.
정부가 지난 1월 충남지역 태안군, 서산시, 당진군, 홍성군, 보령시, 서천군 6개 지역에 긴급생계비 558억(정부생계지원비 300억원, 충남도에 접수된 국민성금 158억, 충남도 예비비 100억원)을 지급했다.
또한 피해가구가 3만여 가구로 증가함에 따라 추가 긴급생계지원자금 300억원과 특별재난지역으로 추가 선포된 전남 영광, 무안, 신안군 3개 지역에 168억원 총 468억원을 추가로 지원했다. 기름유출사고로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태안군은 지난 2월 1차 긴급생계안정자금 320억원을 가구 수와 오염된 해안선의 길이, 어장면허 면적, 어업종사자 수 등 7개 지표 등을 토대로 분류한 뒤 배분액수로 결정됐다.
현지 거주하는 주민들의 피해 규모와 피해 정도에 따라 가구당 평균 76~290만원씩 차등지급 했다.
그러나 1차 생계비지급은 섬, 해안 등의 피해지역과 수산, 비수산분야 등을 둘러싸고 각 피해지역에 대한 서로에 입장차이와 실제보상 기준이 잘못된 대상선정, 등급별 생계비 차이 등이라는 적정성 여부를 놓고 주민들에 반발이 끊이지 않았다.
또한 정부에서 태안 주민들을 위한 각종 세금감면, 생계비지원 등을 지원 하지만 턱없이 부족한 생계비로 태안주민들은 기름방제작업에 나가 간신히 생활비를 마련하며 전전긍긍하고 있다.
태안군 관계자는 “현재 지역별, 업종별로 주민들에 2차 생계비지원 신청 접수를 받고 있다. 생계비지원 지침서를 조속히 마련해 다음달 4월부터 주민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고 했다.
태안기름유출사고로 가장 피해가 컸던 근흥면, 원북면, 소원면, 이원면은 아직도 유출된 원유가 모래밭, 자갈 틈새에 스며들고 방제 손길이 미치지 못한 섬, 갯바위 등은 시커먼 상태로 방치돼 있다.
군 관계자는 “만리포, 천리포 등 육안으로 보기에는 깨끗해 보이지만 모래층, 암반층에 은익된 기름이 아직도 많아 자원봉사자들의 손길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명웅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