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자치부(장관 박명재)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극심한 교통체증과 대기오염, 고유가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사회와 국민의 삶에 질 제고를 위해 ‘자전거이용활성화종합대책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자전거이용활성화’는 자전거로 열어가는 살기 좋고 건강한 사회구현을 비전으로 2015년까지 자전거 보유율을 14.4%에서 25%로 교통수송 분담율을 3%에서 10%로 높이고 10개 이상의 자전거 명품도시를 창출하는 것과 지자체의 자전거에 관한 투자를 생활밀착형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러한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전거 중심의 제도 및 인프라 강화, 자전거 보급과 도로·시설 확대, 자전거를 이용하는 사회·문화풍토 조성, 자전거 중심도시 성공사례 창출·확산, 공공기관과 지자체에 대한 사후관리 강화 등 5대 전략 하에 17대 실천과제를 발굴·선정했다.
또한 수도권 중 여건이 우수한 일산·분당·부천 등을 대상으로 프랑스 파리의 ‘밸리브’와 같은 민자(BTL)방식을 통해 자전거 시설확충 검토, 일정한 요일을 ‘자전거 타기의 날’ 지정 권고, 자전거 로고 및 캐릭터 개발, 홍보대사 위촉, 자전거 통근·통학 권장 등 동기유발을 위한 홍보를 강화하기로 했다.
행자부는 올해 관계부처 등과 충분한 협의를 통해 ‘자전거 이용 활성화 종합대책’을 확정하고 올해 말까지 세부 로드맵을 수립해 주요시책들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와 관련 한범덕 차관은 브리핑을 통해 “범국가적인 자전거 이용활성화 분위기 조성으로 국민 모두가 극심한 교통·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나부터 실천한다’는 사회문화가 조성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또 도심 중심보다 중심지역 대중교통과 연계되는 외곽지역 자전거도로 활성화를 통해 교통체증을 체감시키고 효율적인 운영·풍토를 조성 하겠다”고 했다.
정성길 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