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일제 강점기에 왜곡되거나 주민이 사용하기에 불편한 행정구역 명칭의 일제 정비를 추진하기로 했다. 일제는 1914년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우리의 민족정신을 말살하기 위하여 고유의 행정구역 명칭을 일본식으로 개조하는 작업을 대대적으로 단행했으며 이후로도 고유 명칭을 일본식으로 왜곡한 바 있다.
해방 후 대부분의 명칭은 원래 이름으로 복원되었으며 ´95년 당시 내무부는 광복 50주년을 맞아 ‘우리 고유지명 찾기’를 추진한 바 있으나 아직도 일부 행정구역 명칭은 일제에 의해 왜곡된 채로 남아 일제 잔재 청산과 민족 정통성 회복을 위해 이를 정비해야 한다는 국민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왔다.
일제 잔재 명칭과 함께 한자표기상 의미는 좋으나 어감이 안 좋은 명칭이나 단순한 방위 표시로 지역의 특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명칭, 지나치게 길어 주민이 사용하기에 불편한 명칭 등에 대한 정비의 필요성도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정부는 자치단체와 합동으로 5월까지 자치단체와 읍·면·동·리 단위까지의 연혁과 명칭 유래에 대한 일제 조사를 통해 지방행정구역 명칭을 합리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행정구역 명칭의 변경은 주민의 찬성을 전제로 자치단체별로 자율적으로 추진한다는 원칙에 따라 향토사학자 등 관계 전문가의 자문뿐만 아니라 주민의견조사, 지방의회 의견청취 등의 절차를 통해 주민의 이해와 공감대를 형성해 나갈 계획이다.
이번 명칭 정비를 통해 일제 잔재 청산은 물론 민족의 정통성을 회복하고 주민의 자긍심과 애향심을 제고하는 등의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영란기자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