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열 시 의료기관에서 신속히 진단 받기
[시사투데이 = 정인수 기자] 전국에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됐다.
질병관리청은 말라리아 위험지역에서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31주차에 채집된 말라리아 매개모기(얼룩날개모기류)에서 삼일열원충 감염이 확인됐다고 19일 밝혔다.
말라리아 경보는 매개모기에 물렸을 때 말라리아에 감염될 확률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질병관리청은 국방부, 지자체와 협력해 말라리아 매개모기 조사감시사업을 통해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위험지역을 중심으로 개체수 변화 및 감염률 감시를 수행하고 있다.
올해 누적 매개모기 일평균 개체수는 전년 대비 54.4% 감소했으나 29주차에 많은 비가 내린 후부터 매개모기 밀도가 증가해 31주차에는 평년 동기간 대비 46.9%, 전년 동기간 대비 24.1% 증가했다.
올해 6월 20일 매개모기 증가로 전국에 주의보 발령된 이후 8월 13일 기준 군집사례 발생 및 매개모기 개체 수 증가에 따라 인천(강화군), 경기(파주시·연천군·고양시·양주시·김포시), 강원(양구군·화천군) 총 8개 지역에 경보가 발령됐다.
현재까지 국내 말라리아 환자는 올해 1월 1일부터 8월 13일까지 총 373명으로 전년 동기간 443명 대비 18.8% 감소한 상황이다.

말라리아 군집사례는 위험지역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 간 증상 발생 간격이 14일 이내고 거주지 간 거리가 1km 이내에서 2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한 경우다. 이달 13일 기준 총 16건이 발생했고 전년 동기간 22건 대비로는 감소했다.
주요 추정 감염경로는 모기가 주로 활동하는 저녁시간에 흡연, 산책, 축구, 낚시, 캠핑 등 야외활동으로 땀이 난 상태에서 휴식할 때 그리고 매개모기의 산란과 생육이 쉬운 호수공원과 물웅덩이 인근에 거주나 산책하면서 모기에 물리는 것으로 확인됐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위험지역 주민과 방문자는 매개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야간 활동 자제, 긴 옷 착용 및 기피제 사용, 취침 시 모기장 적극 활용 등 예방수칙을 준수할 것을 당부한다"며 “발열, 오한 등 의심 증상이 나타날 경우, 보건소나 의료기관을 방문해 신속히 검사받도록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