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환경부가 올해 민감계층 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개선 사업 지원을 확대한다.
환경부는 12일 민감계층 이용시설 실내공기질 개선 사업과 관련해 15개 기업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난해까지 국비를 통해 설비를 지원했던 사업을 민관 협력 체계 방식으로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업무협약에는 한국환경공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국대 등 환경부 산하기관 대표를 비롯해 엘지(LG)전자 등 협약 참여 15개 기업 대표 등이 참석한다.
환경부는 예산·사업을 총괄하고 환경공단은 어린이집 650곳의 실내공기질을 측정한다. 실내공기질 관련 전문기관인 실내환경관리센터는 측정 결과를 토대로 60곳의 시설개선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업무협약에 참여한 실내공기질 관련 기업을 통해 환기설비, 공기청정기 등의 제품을 기부받아 일부 어린이집에 지원한다.
환경부가 지난해 시설 개선을 지원받은 어린이집 60곳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개선 전후를 측정한 결과 폼알데하이드 71%, 총부유세균 57%, 곰팡이 91% 등이 줄어든 효과가 나타났다.
환경부는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시행되는 '제6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 동안 어린이집을 포함한 민감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을 특별 점검하고 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민감계층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남은 계절관리제 기간에도 대기오염물질 관리를 더욱 철저히 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