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한별 기자] 지역별로 사교육 경감이 필요한 특정 학년이나 과목을 지정해 다양한 집중 프로그램 운영...
교육부는 21일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 사업' 1차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사교육 부담 없는 지역·학교 사업은 사교육 경감과 공교육 경쟁력 강화의 선순환을 창출하고 지역의 우수한 사교육 경감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교육발전특구 선도지역을 대상으로 올해 첫 시행됐다.
1차 교육발전특구 선도지역으로 지정된 19개 중 14개가 사업을 신청해 최종 12개 지역이 선정됐다. 1유형(기초지자체)에는 춘천·원주·구미·울진, 2유형(광역지자체)에는 부산·대구·광주·울산·제주, 3유형(광역지자체가 지정하는 기초지자체)에는 경남 진주·사천·거제, 전북 익산·남원·완주·무주·부안, 전남 나주·목포·무안이 선정됐다.
선정된 지역·학교에는 최대 7억원의 예산이 지원돼 학생 수준별 맞춤형 학습, 기초학력·교과보충 프로그램, 자기주도학습, 지역사회 연계 특색 프로그램 등 다양한 사교육 경감 모델이 추진된다.
춘천의 경우 초등학교 3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수포자 없는 중점학교'가 5개교에서 운영된다. 예비교사 수학 1대 1 상담, 레벨업 수학 캠프, 수학 전화 상담실 ,디지털 수학교구 및 공학 도구 등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본 사업의 철저한 성과관리를 위해 매년 각 지역이 제출한 성과지표 달성 여부를 점검해 다음 연도 계속 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사교육 영향 분석 연구 등을 실시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한국교육방송공사(EBS)·한국대학교육협의회 등과 협의해 선정 지역에 EBS 인공지능 상담 학교(AI 멘토링 스쿨), 진로진학 관련 정보 제공 등이 더욱 활성화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