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균희 기자] 엠폭스가 '검역감염병'으로 다시 지정된다. 최근 아프리카 내 엠폭스가 발생한 8개 국가가 검역관리지역으로 지정된다.
질병관리청은 지난 14일 세계보건기구(WHO)의 엠폭스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 선포에 따라 이와 같이 결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최근 변이 바이러스인 엠포스 1형(clade1)이 발생한 우간다, 에티오피아,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케냐, 콩고, 콩고민주공화국이 검역관리지역으로 지정된다.
질병청은 엠폭스 검역감염병 재지정에 따라 인천공항 내 에티오피아 직항편 게이트에서 역학조사관·공중보건의사 등을 현장에 배치해 대응할 방침이다.
해당 국가 방문 후 발열, 오한, 림프절 부종 등 전신 증상과 발진이 있다면 입국 시 검역관에게 신고해야 한다.
국내 엠폭스 감염 환자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올해부터 제3급 감염병으로 전환된 것은 물론 예방과 치료가 가능한 질병으로 현행 의료체계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
엠폭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검역관리지역 국가 방문 시 모르는 사람과 안전하지 않은 밀접 접촉은 피하도록 한다. 설치류(쥐·다람쥐), 영장류(원숭이·유인원) 등의 야생 동물을 접촉하거나 섭취하는 것도 삼가야 한다. 오염된 손으로 점막 부위를 만지지 말고 개인위생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엠폭스 변이 발생국에 대한 정보를 숙지하고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입국 시 의심 증상이 있는 경우 검역관에게 신고하고 입국 후 일상생활에서 의심 증상이 발생한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도록 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