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정부가 전국에 무량판 구조로 설계된 민간아파트 378개 단지에 대해 실시한 전수조사에서 부실시공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8월 3일부터 2개월간 실시한 전국 민간 무량판아파트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전수조사는 무공판 구조 아파트로 시공 중인 단지 139개, 2017년 이후 준공된 단지 288개 총 427개 현장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이 중 민간아파트가 378개 단지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제외한 지자체별 주택도시공사(SH)가 발주한 공공분양·공공임대주택이 49개 단지다.
조사 결과 시공 중인 현장 1개소 설계도서에서 전단보강근 누락이 발견됐으나 착공 전에 선제적으로 설계 보완을 조치한 것을 확인했다. 준공된 아파트 현장에서는 전단보강근 누락이 발견되지 않았다.
비파괴 방식으로 전단보강근 배근상태, 콘크리트 압축강도 등을 측정한 결과 시공 중인 현장과 준공 현장 모두 철근 누락이 발견되지 않았다. 콘크리트 강도도 적정해 보수·보강이 필요한 부실시공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2개 현장은 세대 내 조사가 필요했으나 입주민 반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다만 최상층 일부 세대 천장에만 전단보강근이 필요한 구조로 지어져 전체적인 구조 안전에는 문제가 없음을 확인했다.
그밖에 주상복합, 오피스텔 등 시공 중인 비(非)아파트 무량판 건축물은 지자체 주관으로 무량판아파트와 동일한 수준으로 조사 중으로 총 57개 시공 현장 중 47개 현장의 조사가 완료됐다. 이 중 1개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전 단계에서 최상층 18개 기둥 중 1개 기둥에 들어가는 전단보강근 6개 중 2개가 누락된 것을 확인했으나 보완 조치를 통해 재설치가 완료된 상태였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앞으로 국민이 공동주택에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도록 건설현장 안전강화를 위한 방안을 근본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이른 시일 내에 발표할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