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창원시 진해구에서 발견된 외래 흰개미가 최소 10년 전 국내에 유입됐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정부 합동 역학조사 연구진은 지난 5일 최초 발견된 세대 및 주변 지역에 대해 11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합동 역학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테마트랙은 초음파로 목재 내부 흰개미의 진동을 감지해 흰개미 유무를 판별하는 흰개미 전문 탐지 장비다.
첫 발견 세대에서는 추가 개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주변 지역 2곳에서 동일 종 외래흰개미의 서식이 확인됐다. 최초 발견지 기준 50m 인근 주택 외부 목재 창틀에서 생식개미·일개미 등 69마리, 90m 인근 주택 지붕 하부 목재에서 생식개미·일개미 등 54마리의 군체가 각각 확인됐다. 해당 목재는 모두 해체해 소각됐다.
연구진은 외래 흰개미의 종 특성과 군체 규모를 고려했을 때 최소 10년 전 국내 유입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미 정착했을 우려도 있는 만큼 정기적인 감시와 방제를 지속한다는 입장이다.
이번에 발견된 외래 흰개미는 정밀 종 분석 결과 서부마른나무흰개미로 밝혀졌다. 서식지인 미국에서는 주로 가을에 교미를 위한 혼인비행를 하는 특성이 있다. 정부는 인근 지역 방역을 실시해 혼인비행을 통한 추가 개체 확산을 예방할 계획이다. 인근 문화재도 전수조사를 실시해 피해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
김명관 산림청 산림병해충방제과장은 "흰개미는 목조 주택을 가해하는 해충이지만 자연에서는 죽은 나무, 낙엽 등을 분해해 토양에 영양 물질을 공급하는 익충이다"며 "국내에는 순수 목조 주택이 많지 않아 초기 발견 및 방제가 원활히 이루어진다면 해외 사례와 같은 큰 피해는 예방할 수 있다"고 했다.
외래 흰개미가 의심되는 경우 해당 지자체와 국립나무병원(02-961-2677)에 신속히 신고하면 된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