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인수 기자] 모래파리에 물려 감염되는 해외유입 기생충 감염증 '리슈만편모충' 환자가 2년 만에 국내에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은 중남미, 아프리카, 중동, 중앙 아시아 등 주요 위험지역 여행 시 매개체인 모래파리에 물리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7일 당부했다.
이번에 확인된 환자는 멕시코와 갈라파고스제도 등 중남미 지역을 여행하고 귀국한 후 증상이 발현 돼 입원한 사례로 피부리슈만편모충증으로 진단됐다.
리슈만편모충증은 모래파리가 흡혈할 때 리슈만편모충이 사람에게 감염되는 매개체감염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4급 법정감염병인 해외유입기생충증에 해당한다.
리슈만편모충증은 감염 부위에 따라 피부, 피부점막, 내장리슈만편모충증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에서는 1978년 최초로 보고된 이후 현재까지 약 29건의 해외유입사례가 확인됐다.
아메리카 지역에서 주로 감염되는 내장리슈만편모충증 치명률이 7%인 것에 비해 피부리슈만편모충증은 치명적이진 않다는 것이 질병청 설명했다. 다만 감염될 경우 팔, 다리, 안면 등 피부 노출부에 구진, 수포, 결절, 궤양 증상이 나타나고 감염 부위에 광범위한 흉터가 생길 수 있어 감염되지 않도록 유의가 필요하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해외여행이 증가하면서 리슈만편모충증을 비롯한 다양한 해외유입감염병 발생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여행객들의 주의가 필요하다"며 "리슈만편모충증을 예방하려면 모래파리 활동시간대인 야간에는 외부활동을 자제하고 긴 옷을 입어 노출을 최소화한다. 노출되는 피부에는 기피제를 바르는 것이 좋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