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재 기자] 올해 10월경 목포시 고하도 해안가 절벽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석곡'이 발견돼 목포 섬 지역의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것이 확인됐다.
환경부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은 최근 시민 과학자와 함께하는 섬 생물 탐사단 합동 조사를 통해 전남 목포시 고하도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난초과 식물인 '석곡'의 자생지를 처음으로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석곡은 뿌리 줄기가 짧고 많은 뿌리를 낸다. 파침형 잎은 2~3년간 살며 짙은 녹색으로 윤기가 있다. 보통 잎이 떨어지면 다음 3년째에 흰색 또는 연한 홍색의 꽃이 핀다.
석곡은 바위나 나무줄기에 붙어서 자라는 상록성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제주도와 남해안 지역에서 드물게 발견된다.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를 포함해 중국,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과거 약용과 관상 목적으로 부문별하게 채취돼 자생지가 훼손되면서 멸종위기에 몰렸다.
이번에 목포시 고하도에서 발견된 석곡은 해안가 절벽에서 확인된 것으로 일부 개체는 꽃도 함께 발견됐다.
김창균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식물자원연구부장은 "앞으로 시민 과학자 참여와 조사 지역을 확대해 더 많은 멸종위기종 분포 정보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증식과 물질 분석을 통해 생물자원의 활용범위도 넓힐 계획이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