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산업현장 사고사망자의 절반 이상이 건설현장에서 발생한다. 그중에서도 가장 많은 근로자가 사망하는 요인이 바로 '추락사고'다. 건설현장 추락사고 대다수는 안전난간, 작업 발판(비계), 개구부덮개 등 가설(假說)기자재에서 야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임시 설치물인 탓에 ‘제대로 관리 하지 않아도 된다’는 잘못된 인식은 ‘가설구조물’을 수십 년 째 ‘건설현장 사고의 주범’이란 악명으로 몰아넣고 있다.
(사)한국건설가설협회(회장 한영섭, www.kaseol.or.kr 이하 협회)는 현장의 안전을 수호할 ‘완벽·안전한 가설공사’ 구현에 두 팔을 걷어붙이며, “가설업계에 산재돼 있는 악재를 타파할 것”을 천명했다.
국내 유일 정부 허가 가설재 전문기관인 본 협회는 지난 1996년 가설공사 ‘안전성 확보’와 ‘가설업계 발전’을 목표로 설립됐다.
실제로 건설기자재 내수시장 70% 이상을 점유 중인 250여개 회원사를 포함한 전국 12개 지부로 구성돼 있으며, 지금껏 ▲가설재 안전인증 컨설팅 ▲이론·실무교육 ▲성능인증 ▲성능시험 ▲기술지원 ▲연구개발 등의 체계적인 사업영역을 수행해왔다.
특히 지난해 한영섭 회장의 취임을 계기삼아 새로운 혁신을 꾀하며, 기존 ‘가설협회’에서 현재 ‘건설가설협회’로 명칭을 변경해 가설분야가 엄연한 건설 파생산업이란 직관적 인지도 제고에 초점을 맞췄다.
또한 건설 안전정책 제도개선에 적극 나서며 협회의 대외적인 역할 증대에도 활기를 불어넣었다. 현재 협회에서는 신고센터를 운영해 불법·불량제품 추방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자체적 정화시스템을 확립함에 따라 가설재 품질력 향상에 만전을 기한다.
대표적 선순환프로그램인 ‘품질경영시스템인증제’를 통해 우수임대업체를 협회가 직접 보증하며, 업계 생태계의 질적 향상을 이룬 것도 그 일환에서다.
무엇보다 지난 10월8일 시행된 가설종사자들의 숙원, ‘가설기자재 대여대금 지급 의무화’ 실현에는 협회가 흘린 굵은 구슬땀이 가득 깃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앞으로도 가설재 관련 법령, 기준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며 불합리한 관행을 채찍질하는 등 국회·정부와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건설 관련 단체들과도 공조할 방침이다.
한 회장은 “원칙을 철저히 고수하며, 매뉴얼을 제대로 숙지한다면 사고가 일어날 확률은 드물다는 것을 명심해주길 바란다”며 “가설기자재 시공단계부터 안전기준이 확실히 지켜질 수 있도록 가시설물 관련 제도확립에 힘을 보탤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국가가 필요로 하고, 국민이 원하는 안전확보를 견인할 씽크탱크가 조성되도록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나의 역할이자 사명감”이라며 “아직 열악한 상황에 처해있는 가설산업 부흥에 막중한 책임을 지닌 단체장을 맡은 현 상황에서 나란 사람은 ‘가설업 안전강화’와 ‘협회원 권익보호’란 결실을 맺는데 필요한 나무라는 생각으로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겠다”며 포부를 다졌다.
한편 (사)한국건설가설협회 한영섭 회장은 가설기자재산업 저변확대와 회원사 권익보호에 헌신하고, 건설현장 안전망 구축을 위한 현안해결에 앞장서며, 협회의 역할증대 및 위상제고 선도에 기여한 공로로 ‘2020 대한민국 사회공헌 대상(시사투데이 주최·주관)’을 수상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