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이윤지 기자] 최근 플라스틱 재생원료의 일부 수출 재개, 공공비축 추진 등으로 페트(PET)와 폴리에틸렌(PE)의 재활용 시장이 호전 추세를 보이고 있다.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한국순환자원유통지원센터에서 실시하는 '재활용시장 일일조사' 결과를 18일 발표했다.
플라스틱 중 섬유, 투명용기 등으로 재활용되는 페트 재생원료의 경우 5월 이후 공공 비축과 수출 증가 등으로 유통 흐름이 서서히 개선돼 6월 2주간 판매량도 3월 수준인 7,737톤으로 회복했다.
하수도관에 재활용되는 폴리에틸렌은 수출 확대로 판매량이 3월 수준으로 회복됐고 판매단가도 소폭 상승했다. 폴리에틸렌 매출단가는 올해 2월 744원/kg, 4월 699원/kg, 6월 737원/kg로 올랐다.
다만,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재생원료는 5월 1만2,320톤에서 6월 1~2주 6,055톤으로 6월말 환산 시 1만5,818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3월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폐비닐의 경우 선별장 보관량이 5월 주 평균 1만2,981톤과 비슷한 수준인 1만3,184톤을 유지하고 있지만 하절기 고형연료(SRF) 수요 감소 요인이 있어 환경부는 시장 상황을 지속 점검할 예정이다.
코로나 확산 이후 수출 감소로 적체가 지속되고 있는 폐의류의 경우 수출업체의 수출품 보관비용을 일부 지원할 예정이다. 다만, 계절적인 영향으로 가정에서의 폐의류 배출량이 줄고 해외 수출이 일부 재개되고 있어 시장 상황을 주시하면서 필요한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영기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앞으로도 시장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 관련업계 협의를 통해 필요한 조치를 신속히 추진해 나가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