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박미라 기자] 코로나19 발생 이후 스마트폰과 PC 이용시간이 증가해 코로나19가 국민들의 방송프로그램 이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일 코로나19에 따른 스마트폰·PC 방송프로그램 이용행태 변화를 분석한 ‘스마트폰·PC 이용행태 변화’ 보고서를 발표했다.
올해 1~4월 스마트폰을 통한 방송프로그램 월평균 이용시간은 155.46분으로 전년 대비 23.34% 증가했다. 월별 이용시간은 코로나19가 발생한 2월 145.91분(13.2%)부터 3월 171.21분(33.2%), 4월 181.00분(67.8%)으로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10대 243.47분(43.0%), 20대 177.20분(6.0%), 40대 150.71분(28.8%), 50대 149.18분(24.8%) 순으로 이용시간이 많았다.
장르별로 이용시간은 오락(68.94분), 보도(43.00분), 드라마&영화(24.37분), 정보(9.39분), 스포츠(7.77분) 순으로 많았다. 전년 대비 보도(51.6%), 오락(34.5%), 정보(33.0%), 드라마&영화(1.2%) 순으로 증가했고 스포츠(43.2%)는 이용시간이 감소했다.
PC를 통한 방송프로그램 월평균 이용시간은 123.31분으로 전년 대비 67.3% 증가했다. 월별 이용시간은 코로나19가 발생한 2월 122.86분(83.9%)으로 크게 증가했고 3월 141.60분(81.9%), 4월 141.36분(59.7%)으로 전년 대비 높은 수치를 보였다.
연령별로는 30대 165.87분(47.4%), 10대 161.26분(134.2%), 50대 115.72분(196.8%), 20대112.37분(91.2%) 순으로 나타났다.
장르별로 이용시간은 오락(54.33분), 스포츠(28.87분), 드라마&영화(22.58분), 보도(9.08분), 정보(6.68분) 순으로 많았다. 전년 대비 증가폭은 스포츠(213.8%), 보도(106.8%), 드라마&영화(43.9%), 정보(40.6%), 오락(39.6%) 순으로 높았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