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애영 기자] 앞으로 국민의 건강, 안전, 환경, 공정한 경쟁 등을 저해하는 공익침해 행위를 신고할 때 변호사를 통한 대리신고가 가능해져 공익신고자의 신분노출에 대한 위험이 줄어들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본인의 이름이 아닌 변호사의 이름으로 공익신고를 할 수 있는 비실명 대리신고 제도를 신설하는 내용의 ‘공익신고자 보호법’이 개정돼 18일부터 시행된다고 밝혔다.
공익신고자는 자신이 선임하는 변호사 이름으로 공익신고를 할 수 있다. 자료 제출이나 의견 진술도 변호사가 대리할 수 있다. 사건 심사나 조사 문서에도 신고자 대신 변호사 이름이 기재된다. 신고자의 인적사항과 위임장은 권익위가 봉인해 보관하게 된다.
아울러 공익신고자 보호조치결정을 이행하지 않는 자에게 부과되는 이행강제금 상한액이 기존 2천만원에서 3천만원으로 상향된다. 또한 기존에는 2년이 지나면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수 없었다. 제한을 없애고 보호조치를 이행할 때까지 이행강제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
권익위 김재수 심사보호국장은 “이번 개정을 통해 그동안 신분 노출이 우려돼 신고를 주저했던 분들도 안심하고 신고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됐다”며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공익침해행위에 대해 내부 관계자들이 용기를 갖고 신고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