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김경희 기자] 한식을 인문사회학적 관점에서 논의하는 ‘한식의 인문학 심포지엄’이 20일 오전 10시 국립중앙도서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한국문화원연합회가 주최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네이버가 후원하는 이번 학술 토론회는 기존의 한식 분야 학술 대회들이 주로 조리, 영양, 가공, 농업 등의 분야에서 유통과 홍보 등에 집중됐던 것에서 나아가 한식의 문화적 측면을 더욱 상세히 조명하기 위해 기획됐다.
이번 학술 토론회는 ‘한식 인문학의 시작’, ‘한식문화 디아스포라’, ‘한식문화의 변화와 전승’ 총 3부로 구성됐다. 디아스포라는 본토를 떠나 타지에서 자신들의 규범과 관습을 유지하며 살아가는 민족 집단 또는 그 거주지를 말한다.
한식문화에 대해 인문사회학적 관점에서 고찰하고 해외 이주 한인들을 통한 한식문화의 확산 과정과 최근의 삶의 양식 변화에 따른 한식문화의 변화 추세까지 폭넓게 다룰 예정이다.
1부 ‘한식 인문학의 시작’에서는 ‘한식 인문학 연구 현황 및 방향’(신원선 한양대 교수), ‘동아시아 3국의 음식 인문학’(아사쿠라 도시오 일본 리츠메이칸대 교수), ‘고문헌을 통한 민족음식사 연구 성과와 과제’(박채린 세계김치연구소 문화융합사업단장)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2부 ‘한식문화 디아스포라’에서는 19세기 간도지역을 시작으로 전 세계에 이주한 한인 동포들의 발자취를 따라 민족 정체성의 원천인 민족음식문화에 대한 이야기를 펼쳐낸다.
또한 ‘중앙아시아 고려인의 민족음식문화’(백태현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인문대 교수), ‘연변 조선족 민족음식문화의 특징 및 변천’(정연학 국립민속박물관 연구관), ‘하와이 사탕수수 농장 이주 한인의 민족음식’(서리나 전남대 교수), ‘미국의 한식문화 전파 및 위상과 미래’(로버트 파우저 문화저술가) 등 주제 발표가 이어진다.
3부 ‘한식문화의 변화와 전승’에서는 급변하는 생활환경의 변화가 전통음식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앞으로 한식문화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등을 고찰하고 정책을 제언한다.
‘생활양식 변화가 한식문화에 미치는 영향’(함한희 전북대 교수), ‘한국음식의 구조와 분화’(강정원 서울대 교수), ‘현대 종가의 전통음식문화 전수양상과 활성화 방향’(배영동 안동대 교수), ‘네이버 검색어로 본 한식문화 흐름’(손영희 네이버 부장) 등 주제 발표가 진행된다.
이번 학술 토론회의 기조발표는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 부이사장과 자문위원장 등을 역임한 민속학자 임돈희 박사가 맡는다. 한국화가 신은미 작가는 참석자들을 위한 특별행사로 ‘한식과 예술의 만남’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