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명웅 기자] 오는 2021년 대전시에 공공 어린이재활병원이 들어선다.
보건복지부는 올해 공공 어린이재활병원 건립사업을 수행할 지방자치단체를 공모한 결과 대전광역시가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장애아동의 특성상 지속적인 재활치료가 필요하지만 불편한 몸으로 거주 지역을 이동해 치료받는 경우가 많아 권역별로 재활병원이 필요한 상황이다.
복지부는 장애아동이 재활치료서비스를 거주 지역에서 받을 수 있도록 올해부터 권역별 공공 어린이재활병원 건립을 추진 중이다. 공공 어린이재활병원은 장애아동과 고위험아동에게 집중재활치료, 의료서비스 제공, 지역사회 내 재활서비스 연계, 학교와 사회 복귀를 지원하게 된다.
대전시는 국비 78억 원을 지원받아 서구 관저동 약 6,224m2의 부지를 마련해 재활의학과, 소아청소년과, 치과 등 진료과에 60병상 규모로 병원을 건립한다. 운영은 충남대학교 병원에 위탁할 계획이다.
복지부는 이번 충남권 병원 설립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어린이재활병원 2개소, 외래와 낮병동 중심의 어린이재활의료센터 6개소를 추가로 건립해 총 9개소 의료기관을 확충할 계획이다.
이번 충남권(대전, 세종, 충남)을 시작으로 미충족 의료수요와 지리적 접근성이 좋은 경남권(부산·울산·경남), 전남권(광주·전남)에도 거점 기능을 할 수 있는 병원을 각 1개소씩 설립하게 된다. 환자와 기존 재활의료기관이 적고 지리적으로 지역 내 이동이 어려운 강원권, 경북권, 전북권, 충북권에는 센터를 각 1~2개소씩 설립할 예정이다.
환자와 재활의료기관이 많고 접근성이 좋은 수도권과 적은 환자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활의료기관이 많은 제주권은 기존의 우수한 병원을 공공 재활의료기관으로 지정해 공적 기능 수행을 지원할 예정이다.
복지부 이상진 장애인정책과장은 “건립비와 질 좋은 재활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될 수 있도록 재정 지원 방안을 검토하고 어린이 재활치료 활성화를 위해 건강보험 수가 개선방안도 마련 중에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