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4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을 수석특별사절로 하는 특별사절단을 북한에 파견키로했다고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이 청와대에서 이날 브리핑을 열고 발표했다.
윤영찬 수석에 따르면,특별사절단은 정의용 안보실장을 비롯,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김상균 국가정보원 2차장, 윤건영 청와대 상황실장 등 5명으로 구성됐으며, 실무진 5명을 포함해 총 10명이 방북하게 된다.
그러면서 사절단 방북은 평창동계올림픽에 김정은 위원장이 파견한 김여정 특사의 방남에 대한 답방의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특별사절단은 5일 오후 특별기 편으로 서해직항로를 통해 방북한 뒤 1박 2일간 평양에 머물며 북측 고위급 관계자들과 한반도 평화정착과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대화에 나설 예정"이라며 "특히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대화 여건 조성, 남북 교류활성화 등 남북관계 개선 문제 등을 포괄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라고 언급했다.
마지막으로 "6일 오후 귀환하는 특별 사절단은 귀국 보고를 마친 뒤 미국을 방문해 미측에 방북 결과를 설명할 예정이며, 중국, 일본과도 긴밀히 협의를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방미와 관련해 "특별사전단 5명이 다 가는 것은 아니다"라며 "정의용 실장과 서훈 원장 두 사람만 갈 것"이라고 밝혔다.
서 원장은 2000년과 2007년 두 차례 남북정상회담 당시 대북 협상에 깊숙이 관여하면서 경험이 풍부한 명실상부한 대북전략통으로 꼽히며 특히 서 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인 마이크 폼페오 중앙정보국(CIA) 국장과 긴밀한 소통채널을 유지하고 있다.
정의용 안보실장은 허버트 맥매스터 국가안보보좌관 등 백악관 안보 핵심라인과 직접 소통이 가능한 인물이다. 또 대북 협상 결과를 토대로 백악관과 공유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문 대통령 친서를 가지고 가냐는 질문에 "지금 말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지난번 김여정 특사 방남 과정을 복귀하면 좋을 것 같다"고 답해 김 위원장에게 문 대통령의 친서 전달을 사실상 인정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사절단의 김정은 국무위원장 접견 여부에 대해서는 "현 단계에서 최종적으로 확정된 바 없다"면서 "김여정 방남 때 대통령이 직접 만났고, 그에 상응하는 결과들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