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윤용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18일 "5·18은 불의한 국가권력이 국민의 생명과 인권을 유린한 우리 현대사의 비극이지만 이에 맞선 시민들의 항쟁이 민주주의의 이정표를 세웠다"며 "마침내 5월 광주는 지난 겨울 전국을 밝힌 위대한 촛불 혁명으로 부활했다. 나라를 나라답게 만들자는 치열한 열정과 하나 된 마음이 그곳에 있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광주시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 민주화운동 37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통해 "새롭게 출범한 문재인 정부는 광주민주화운동의 연장선 위에 서있으며, 1987년 6월항쟁과 국민의 정부, 참여정부의 맥을 잇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5.18민주화운동과 촛불혁명의 정신을 받들어 이 땅의 민주주의를 온전히 복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어 "여전히 우리 사회 일각에서는 5월 광주를 왜곡하고 폄훼하려는 시도가 있는데 용납될 수 없는 일이며 역사를 왜곡하고 민주주의를 부정하는 일"이라며 "우리는 많은 사람의 희생과 헌신으로 이룩된 이 땅 민주주의의 역사에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정부는 5.18민주화운동의 진상을 규명하는 데 더욱 큰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며 "헬기 사격까지 포함하여 발포의 진상과 책임을 반드시 밝혀내겠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아울러 "5·18 관련 자료 폐기와 역사 왜곡을 막고, 전남도청 복원 문제를 광주시와 협의·협력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또 "완전한 진상규명은 진보와 보수 문제가 아니라 상식과 정의의 문제로, 국민 모두가 함께 가꾸어야 할 민주주의 가치를 보존하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차후 진행될 개헌을 통해 5.18정신을 헌법전문에 넣겠다는 대선 공약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광주정신을 헌법으로 계승하는 진정한 민주공화국 시대를 열겠다"라며 "5.18민주화운동은 비로소 온 국민이 기억하고 배우는 자랑스러운 역사로 자리매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5·18 정신을 헌법전문에 담아 개헌을 완료할 수 있게 국회의 협력과 국민 여러분의 동의를 정중히 요청드린다"고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명박, 박근혜 정부의 5.18기념식에서 제창 되지 못했던 <임을 위한 행직곡>과 관련해 "'님을 위한 행진곡'은 단순한 노래가 아니라 5월의 피와 혼이 응축된 상징이자 5·18 민주화운동의 정신 그 자체"라며 "'님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는 것은 희생자의 명예를 지키고 민주주의 역사를 기억하겠다는 것으로, 오늘 이 노래 제창은 그 동안 상처받은 광주정신을 다시 살리는 일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오늘의 제창으로 불필요한 논란이 끝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이어 5.18과 함께 세월호 참사를 거론하며 국가의 책임을 강조했다. 그는 "2년 전, 진도 팽목항에 5.18의 엄마가 4.16의 엄마에게 보낸 펼침막이 있었다. '당신 원통함을 내가 아오. 힘내소. 쓰러지지 마시오'라는 내용이었다"라며 "국민의 생명을 짓밟은 국가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지 못한 국가를 통렬히 꾸짖는 외침이었다"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다시는 그런 원통함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겠다. 국민의 생명과 사람의 존엄함을 하늘처럼 존중하겠다"라며 "그것이 국가의 존재가치라고 믿는다"라고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5월의 죽음과 광주의 아픔을 자신의 것으로 삼으며 세상에 알리려 했던 많은 이들의 희생과 헌신도 함께 기리고 싶다"며 1982년 광주교도소에서 광주진상규명을 외치사 옥사한 스물아홉살 전남대생 박관현 열사, 1987년 광주사태 책임자 처벌을 외치며 분신 사망한 스물다섯살 노동자 표정두 열사, 1988년 광주학살 진상규명을 외치며 명동성당 4층에서 투신 사망한 스물네살 서울대생 조성만 열사, 1988년 ‘광주는 살아있다’를 외치며 숭실대 학생회관 옥상에서 분신 사망한 스물다섯살 숭실대생 박래전 열사의 이름을 차례로 불렀다.
그러면서 "5월의 영령들과 함께 이들의 희생과 헌신을 헛되이 하지 않고 더는 서러운 죽음과 고난이 없는 대한민국으로 나아가겠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광주시민들께도 부탁드린다. 광주정신으로 희생하며 평생을 살아온 전국의 5.18들을 함께 기억해달라. 이제 차별과 배제, 총칼의 상흔이 남긴 아픔을 딛고 광주가 먼저 정의로운 국민통합에 앞장서 달라"면서 "광주의 아픔이 아픔으로 머무르지 않고 국민 모두의 상처와 갈등을 품어 안을 때 광주가 내민 손은 가장 질기고 강한 희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5월 광주의 시민들이 나눈 주먹밥과 헌혈이야 말로 우리 자존의 역사이자 민주주의의 참모습이다"며 "목숨이 오가는 극한 상황에서도 절제력을 잃지 않고 민주주의를 지켜낸 광주 정신은 그대로 촛불광장에서 부활했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촛불은 5.18민주화운동의 정신 위에서 국민주권시대를 열었다. 국민이 대한민국의 주인임을 선언했다"며 "문재인 정부는 국민의 뜻을 받드는 정부가 될 것임을 광주 영령들 앞에 천명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끝으로 "서로가 서로를 위하고 서로의 아픔을 어루만져주는 대한민국이 새로운 대한민국"이라며 "상식과 정의 앞에 손을 내미는 사람들이 많아질수록 숭고한 5.18정신은 현실 속에서 살아숨쉬는 가치로 완성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