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롭게 보강된 첨단장비는 화학사고 대응뿐만 아니라 U-20 월드컵, 2018 평창동계올림픽 등 국가 주요행사의 대테러 안전활동 지원에 활용돼 현장 중심의 화학사고·테러 대응체계 강화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첨단장비는 화학작용제탐지기 13대, 고체·액체 분석용 적외선분광기 6대, 드론 13대, 현장긴급출동차량 6대 등 4종이다.
화학작용제탐지기는 흡입 또는 섭취할 때 근육경련, 호흡곤란, 염증 등을 일으키는 신경작용제, 혈액작용제, 독성화학물질 등 26종을 10~90초 이내에 탐지할 수 있다. 고체·액체 분석용 적외선 분광기는 테러에 사용되는 사제폭발물 원료인 TATP, PETN 등을 현장에서 신속하게 분석한다.
드론은 화학사고나 테러가 발생해 현장 대응인력의 근접 접근이 어려울 경우 상공에서 현장을 입체적으로 관찰하는 데 활용된다. 이번에 6대가 추가 배치된 ‘현장긴급출동차량’은 화학사고 대응장비를 상시 탑재하고 신속하게 현장에 출동할 수 있다.
올해는 38억 원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해 현장긴급출동차량 7대를 추가 배치할 예정이다. 노후 된 화학보호복, 공기호흡기, 시료채취장비를 전면 교체한다. 아울러 현장 탐지능력을 한층 강화하기 위해 원거리 화학영상탐지시스템, 기체 분석용 적외선분광기를 추가로 도입해 신속하고 안전한 화학사고·테러 대응 태세를 갖출 계획이다.
신건일 화학물질안전원 사고대응총괄과장은 “이번 첨단 대응장비 도입을 통해 화학사고와 화학테러 현장대응 능력이 더욱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