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투데이 정미라 기자]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수는 171만명을 넘어 총인구 5106만9375명 대비 3.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15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수는 171만 1,013명으로 17개 시·도 인구와 비교하면 10번째에 해당하며 전남 179만9,044명 보다 적고 충북 158만 9,347명 보다 많은 규모다. 외국인주민수는 조사를 시작한 2006년 53만6,627명으로 10년 동안 3배 이상 증가했다.
유형별로는 국적미취득자가 전체의 79.7%(1,363,712명), 국적취득자가 8.8%(149,751명), 자녀가 11.5%(197,550명)로 나타났다. 외국인주민 세 명 중 두 명은 ‘근로 목적’으로 거주하고 4명 중 1명은 ‘가족형성 목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근로 목적으로 거주하는 유형은 전체의 66.4%로 외국인근로자 33.5%(57만3,378명), 외국국적동포 12.6%(21만6,213명), 기업투자자·특파원·불법체류자 등 기타 외국인 20.3%(34만7,028명)이다. 가족형성 목적으로 거주하는 유형은 전체의 25.5%로 외국인주민 자녀 11.6%(19만7,550명), 결혼이민자 8.5%(14만4,912명), 혼인귀화자 5.4%(9만3,249명)이다. 기타 목적으로 거주하는 유형은 8.1%로 유학생 4.8%(8만2,181명), 일반귀화·입양 등 기타귀화자 3.3%(5만6,502명)이다.
외국인주민 자녀는 10명 중 9명이 초등학생 이하고 10명 중 6명이 미취학아동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는 미취학아동(만 6세 이하) 58.8%(11만6,068명), 초등학생(만 7~12세) 31.2%(6만1,625명), 중고생(만 13~18세) 10.0%(1만9,857명)이다.
외국인주민의 국적은 절반 이상이 중국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출신은 전체의 52.8%(86만8,611명)로 한국계 중국인 37.1%(61만0,554명), 중국인 15.7%(25만8,057명)이다. 이어 베트남 12.6%(20만7,383명), 남부아시아(인도권) 5.7%(9만4,226명), 태국 4.9%(8만933명), 필리핀 4.8%(7만8,570명), 미국 3.9%(6만3,444명), 중앙아시아 3.1%(5만954명), 캄보디아 3.1%(5만664명) 순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주민은 60% 이상은 수도권에 집중적으로 거주하고 있는데 시도별로는 경기 32.1%(54만9,503명), 서울 23.9%(40만8,083명), 경남 6.6% (11만2,387명), 인천 5.2%(8만9,515명), 충남 5.2%(8만8,189명) 순이었다.
외국인주민이 많이 거주하는 7개 시·도는 안산(7만5,965명), 영등포(5만7,000명), 수원(5만1,258명), 구로(4만7,123명), 화성(4만6,136명), 시흥(4만3,295명), 부천(3만2,475명) 순이었다.
심덕섭 행자부 지방행정실장은 “외국인주민 현황은 중앙부처와 자치단체 외국인주민 지원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시사투데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